Investigation of Exhibit Characteristics at Natural History Museums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성 분석

  • 신명경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 이창진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solate characteristics of exhibits particularly considering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effectiveness in attracting the attention of visitors in famous Natural History Museums. The target exhibits were selected from the Natural History museum in London, the Australian Museum in Sydney,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New York, and the Smithsonian Museum in Washington D.C. A total of 107 sample exhibits used in this study from these four museum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solid earth science education related exhibitions including fossils, geological history, and minerals. For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developed a checklist with seven items based on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 and articles pertaining to exhibit characteristics of natural history museums and science centers. Also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focused on classifications of exhibitions by Hein (1997). In this study, all the sample exhibit, were taken pictures of and stored on slide films for lated examination. Respectively exciting and positive results were found in all four museums. The analyses, however, indicated weaknesses as well as strengths in the four museum exhibits.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의 유명한 자연사 박물관을 대상으로 관람객의 흥미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전시 특성과 교육학적인 전시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이 되는 전시물은 런던에 있는 영국 자연사박물관, 시드니의 호주 박물관, 뉴욕 미국 자연사 박물관, 와싱턴 디시의 스미소니언 박물관이다. 특히 본연구에서 사용한 107개의 전시 표본들은 주로화석, 지구의 역사 그리고 광물과 같은 고체 지구과학교육 내용의 전시에 초점을 맞추었다. 조사를 위해 본 연구는 7개 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완성했는데 각 항목들은 과학관과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특성을 다루었던 기존의 문헌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또한 교육적인 측면은 Hein(1995)의 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107개의 샘플 전시물은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촬영하고 슬라이드 필름에 보관한 것을 통해 조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위 4개의 박물관에 대한 조사 결과는 각기 특성있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으나 분석을 통해 각 박물관의 다소의 단점도 드러났다.

Keywords

References

  1. Borun, M. and Dritsas, J., 1997, Developing family-friendly exhibits. Curator, 40, 178-196 https://doi.org/10.1111/j.2151-6952.1997.tb01302.x
  2. Falk, J.H., Koran, J.J.Jr., dierking, L. D., and Dreblow, L., 1985, Predicting visitor behavior. Curator, 28, 249-257 https://doi.org/10.1111/j.2151-6952.1985.tb01753.x
  3. Hawkey, R., 2001, The science of nature and the nature of science: Natural History Museum.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4)
  4. Hein, G., 1998, Learning in the museum, Routledge, New York, NY. 5
  5. Hein, G., 1995, The constructivist museum. Journal of Education in Museums, 16, 21-23
  6. Melber, Leah M. and Abraham, Linda M., 2002, Science education in U.S. Natural History Museums: a historical perspective. Science and Education, 11, 45-54 https://doi.org/10.1023/A:1013006930636
  7. Sandifer, Cody, 2003, Technological novelty and open-end-edness: two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exhibits that contribute to the holding of visitor attention in a Science muse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121-137 https://doi.org/10.1002/tea.10068
  8. 안희수, 이창진, 박성혜, 1993, 세계의 주요 자연사박물관의 조직 및 운영. 한국지구과학회지, 14(1), 135-151
  9. 이병훈, 1999, 자연사 박물관의 설립과 의의. 박물관학 연구. 제 4 집, 9-20
  10. 이병훈, 2000, 자연사 박물관과 생물다양성, 사이언스북스, 1-270
  11. 이종위, 1999, 자연사 박물관 교육, 박물관학 연구, 29-41
  12. 이창진, 1993, 스미소니언 자연사 박물관, Cosmosphere, 6-12
  13. 이창진, 1999, 국립 자연사 박물관설립을 위한 이상적 모델, 박물관학 연구, 제 4 집, 21-28
  14. 이창진, 2002a, 자연사 박물관의 역할과 필요성(미국 스미소니언 자연사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 고생물 학회지 별책 5, 62-72
  15. 이창진, 2002b, 자연사 박물관의 필요성과 국내 자연사 박물관의 현재, 지구과학교육,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