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Gender Grouping on Cooperative Learning in Middle School Science

중학교 과학 영역에서 성별에 따른 소집단 구성방법의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

  • Lee, Yun-Mi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Yoo, Jung-Mo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이윤미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유정문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3.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nder grouping on cooperative learning on the basis of student achievement and science-teaming attitude.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gender groupings were used in the treatment groups for the learning strategies of earth science. Traditional instruction was performed for the control group. Three classes at a middle school were assigned to the groups. Before the treatment instruction, a questionnaire about science-learning attitude was administered to 144 students, and their scores were utilized as covariate. Then, the same questionnaire was given with a test of science achievement designed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both achievement and attitude among the three group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hown in science achievement or in the difference of gender with respect to perceptions about scienc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he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gender grouping in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Here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regardless of the gender grouping, tends to exhibit more positive perceptions towards their learning environment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ularly in female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소집단 구성 방법을 달리한 두 가지 협동학습의 교수방법이 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2학년의 3개 학급 144명을 대상으로 지구과학 분야의 수업을 처치하여 전체 및 남녀 학생별로 이들 효과를 공변량 분석하였다. 통제 집단에 대하여는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처치 수업 전에 과학 학습 태도에 관한 질문지가 학생에게 배포되었고, 이 점수를 공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처치 후에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과학 학업성취도와 관련된 문항과 함께 같은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학업성취도, 그리고 학습태도의 하위영역인 과학교과에 대한 인식의 성차에서 수업처치의 주효과 그리고 수업처치와 성별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서는 전체 학생에서 동성끼리 소집단을 구성한 협동학습 집단의 점수가 이성의 경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수업환경의 인식에 대한 전체 학생의 점수는 전통적 수업집단보다 두 협동학습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여학생에서 동성끼리 소집단을 구성한 협동학습 집단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소집단 조직방법과 활동유형이 여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과학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애
  2. 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 과학기술부
  3. 중학교 교육과정 [별책3] 교육부
  4.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학생에게 친근한 과학 학습 내용 및 방법을 적용한 수업이 여학생들의 과학 학습 태도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미
  5. 과학교육 v.33 no.5 열린교육에서 과학과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방안: 열린 교육에서 과학과 수업모형의 개발을 중심으로 김현재
  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19 no.4 문제해결전략에서 협동학습의 효과 노태희;여경희;전경문
  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16 no.4 남녀 혼성반 학생들의 과학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의 성별 차이 노태희;최용남
  8. 여성연구 v.35 성별 학교유형이 학생들의 특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에 관한 연구 민무숙
  9.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협동학습 소집단 구성방법의 효과 박수연
  10. 학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과학 학습 배경의 성차 분석에 근거한 여학생 친화적 과학 수업 전략개발 신영준
  11.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남녀 공학 고등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비공학과 공학을 모두 경험한 교사 를 대상으로 이선주
  12.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지식, 탐구 능력 및 학습 환경인식에 미치는 효과 이양락
  13. 성역할 사회화 이론의 최신 경향 이재연
  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21 no.1 과학교과에서의 양성 평등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젼략 및 자료개발 방안 최경희
  15. Shortchanging Girls: Shortchanging America American Association for University Women
  16. Gender, Class, and Education A Cloud over Co-education: An Analysis of the Form of Transmission of Class and Gender Relation Arton, M.;S. Walker(ed.)L. Barton(ed.)
  17.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32 no.1 Letting girls speak out about science Baker, D.;Leary, R. https://doi.org/10.1002/tea.3660320104
  18.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30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n a physical science course for elementery/middle school level preserving teachers Burron, B.;James, M. L.;Ambrosio, A. L. https://doi.org/10.1002/tea.3660300708
  19.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31 no.2 The effect of levels of coperation within physical science laboratory group on physical achivement Chang, H. P.;Lederman, N. G.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7
  20. School Science and Mathmatics v.92 no.2 The effects of cooperative group work versus independent practice on the learning of some problem-solving stratigies Duren, P. E.;Cherrington, A.
  21. Report to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Committee Criterion Validity of an Individualized Classroom Environment Questionnaire Fraser, B. J.
  22.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 Research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Fraser, B. J.
  23.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v.51 no.2 Equity, excellence and just plain good teaching Gardner, A. L.;Mason, C. L.;Matyas, M. L. https://doi.org/10.2307/4448854
  24. Educational Leadership v.47 no.4 Using work-groups in mathmatics instruction Good, T. L.;Reys, B. J.;Grouns, D. A.;Mulryan, C. M.
  25.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33 no.1 Gender, tewt, and discussion: Examining intellectual safety in the science classroom Guzzetti, B. J.;Williams, W. O.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5::AID-TEA1>3.0.CO;2-Z
  26.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on, competition and individualization(2nd Ed.) Johnson, D. W.;Johnson, R. T.
  27. Science Education v.72 no.4 Academic achievement and on-task behavior of high school biology students instructed in a cooperative small innvestigative group Lazarowitz, R.;Hertz-Lazarowitz, R.;Barid, J. H.;Bowlden, V. https://doi.org/10.1002/sce.3730720407
  28.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31 no.10 Learning science in a cooperative set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outcomes Lazarowitz, R.;Hertz-Lazarowitz, R.;Barid, J. H. https://doi.org/10.1002/tea.3660311006
  29.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78 no.5 Effect of single-sex secondary schools on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 Lee, V. E.;Bryk, A. S.
  30.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30 no.9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student verbal interactions and achievement during conceptual change instruction in 10th grade general science Lonning, R. A. https://doi.org/10.1002/tea.3660300907
  31. The Science Teacher v.57 no.9 Can Girls + Science - Stereotype = Success? Peltz, W. H.
  32. Educational Leardership v.48 no.5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Slavin, R. E.
  33.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27 no.7 Effect of cooperative grouping on stoichiometric problem solving in high school chemistry Tingle, J. B.;Good, R. https://doi.org/10.1002/tea.3660270707
  34.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31 no.8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achievement: Do school effects make a difference? Young, D. J.;Fraser, B. 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