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itial $^{99m}Technetium-dimercaptosuccinic$ Acid (DMSA) Renal Scan Finding and Vesicoureteral Reflux as Predicting Factor of Renal Scarring

신반흔 예측인자로서 초기 $^{99m}Technetium-dimercaptosuccinic\;Acid$ 신주사 소견과 방광요관 역류의 유무 및 정도

  • Lee Soo-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So-Hee (Department of Pediatric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Dae-Yeol (Research Institute of Clinical Medicine)
  • 이수연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임소희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대열 (임상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Purpose : Acute pyelonephritis in children may result in permanant renal damage which later in life may lead to hypertension and renal fail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might be useful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renal scar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UTI).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42 patients with UTI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2 to March 2002.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renal scar on the follow-up DMSA renal scan, and we compar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renal scarring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causative organism and acute phase reactants between the groups with and without renal scar. The age at diagn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nal scar group compared to that without scar. Of the 60 patients with renal scar, 78% had vesicoureteral reflux(VUR), but 13% of patients without scar had VUR. Furthermore, the severity of VU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nal scar formation. 53% showed multiple cortical defects on the initial DMSA renal scan, compared to 32% in the non-scar group. In addition, 76% of patients showing multiple cortical defects on the initial DMSA renal scan with VUR had renal scar. Conclusion : The presence and grade of VUR, and findings on the initial DMSA renal scan would contribute to predict risk of renal scar formation in children with UTI.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신반흔의 고위험 환아를 규명하고자 요로감염 후 DMSA 신주사를 이용하여 급성기와 치료 후 추적 검사를 통하여 신반흔을 형성한 군과 신반흔을 형성하지 않은 군에서 방광요관 역류 유무와 등급, DMSA 신주사 소견 등을 비교 분석하여 신반흔에 관련된 인자들을 평가하고 신반흔의 예측인자로서 방광요관 역류와 급성기 DMSA 신주사 소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2년 4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전북 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요로감염으로 입원한 환아 44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요로감염의 급성기에 급성기반응 지표, DMSA 신주사를 시행하였고 치료 후 VCUG를 시행하여 방광요관 역류를 진단하였고 치료 4-6개월 후 DMSA 신주사를 시행하여 신반흔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 분포는 두 군 모두 1세 미만이 가장 많았으나 신반흔 형성군에서는 진단당시 연령이 신반흔 무형성군에 비해 높았고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원인균으로는 E.coli가 가장 많았으며 두 군간에 원인균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급성기에 시행한 백혈구, ESR, CRP 등의 급성기 반응지표는 신반흔 형성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신반흔 형성군에서는 방광요관 역류의 빈도가 78%, 신반흔 무형성군에서는 13%이었고, grade IV 이상의 중증의 역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신반흔 형성군에서 높았으며 방광요관역류와 그 정도가 신반흔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급성기에 시행한 DMSA 신주사 소견상 다초점성 신피질 결손의 빈도가 신반흔 형성군에서 53%로 신반흔 무형성군의 32%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방광요관 역류가 있으면서 신주사상 다초점성 결손을 보인 환아의 75%에서 신반흔이 형성되었다. 결론 : 신반흔 형성은 방광요관 역류의 유무와 정도, 급성기의 DMSA 신주사 소견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초기 신주사 소견과 방광요관 역류는 신반흔 발생의 위험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며 고위험군으로서 추적관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