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RVQUAL과 SERVPERF를 이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 an Academic Library using SERVQUAL and SERVPERF

  • 이두영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김희전 (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 발행 : 2003.06.01

초록

1970년대 후반 북유럽을 중심으로 제조업 부문에서 시작된 서비스 품질 연구는 기업이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서 활발해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도서관도 예외는 아니어서 도서관의 경쟁력을 높이고 이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면의 모색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마케팅 분야의 대표적인 서비스 품질 평가 방법인 SERVQUAL과 SERVPERF를 적용하여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SERVQUAL과 SERVPERF중 어떠한 방법이 도서관 서비스 평가에 적합한 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서비스 품질과 이용자 민족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Research papers on sevice quality, which began with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many Northern Europe at the end of 1970, have been found since the companies became much concerned about the level of services they offered. Libraties can not be an exception to this situation.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ind a way to develop a competitive strategy to offer a high level of service to those who use libraries. The purpose of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brary services by applying "SERVQUAL" and "SERVPERF" of evaluating service quality and to determine which of these 2 methods is better in terms of measuring library servic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an user satifac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회일, 정용길. 2002. 도서관의 온라인 서비스 품질 평가 e-LibQual의 적용. '정보관리학회지', 19(3) : 248-249
  2. 김윤실. 2002. '전문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 나세나. 2000. 'SERVQUAL 평가모형을 이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질 평가에 관한 연구 - 전남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4. 백항기. 2000. '대학도서관의 성과측정 - 서비스 질의 구성요인과 고객만족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5. 윤동원. 1999.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의 측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안동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6. 이은철 역. 2001. '도서관 서비스 품질 관리론 - 고객만족을 위한 도서관 경영'.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7. 이종권. 2002.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질의 고객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8. 홍주빈. 1997.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이 재구매 의사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증적 연구'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9. Bolton. R. N .. Drew, J. H. 1991. 'A Multistage Model of Customer's Assessments of Service Quality and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4) : 375-384 https://doi.org/10.1086/208564
  10. Calvert. P. J. 1998. 'A Different Time. a Different Country: and Instrument for Measuring service Quality in Singapore's Polytechnic Librarie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4(4) : 96-303
  11. Carman. J. M 1900. 'Customer Peroeptions of Service Quality : An Assessment of the ERVQUAL Dimensions.' Journal of Retailing. 66(1) : 33-55
  12. Cronin, J. J., Taylor, S. A. 1994. 'SERVPERF Vs SERVQUAL : Reconciling Performance-based and Peroeptions-Minus-Expectations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58 : 125-131
  13. Ghobadian, Abby Speller, Simon, Jones. Matthew. 1994. 'Service Quality : Concepts and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 Reliability Management. 11(9) : 43-66 https://doi.org/10.1108/02656719410074297
  14. Gronroos. Critian. 1984. 'A Service Quality Model and Its Implic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4) : 36-44 https://doi.org/10.1108/EUM0000000004784
  15.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L. 1988. ' SERVQUAL : A Multi-item Scale for Measurih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 : 13-30
  16. Vicki, Coleman, Xiao, Yi, Bair, Linda, and Chollet, Bill. 1997. 'Toward a TQM Paradigm : Using SERVQUAL to Measure Library Service Qualit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58(3) : 237-251 https://doi.org/10.5860/crl.58.3.237
  17. Yvonna, S. Lincoln. 2002. 'Insights into Library Services and Users from Qualitative Research.'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4:3-16 https://doi.org/10.1016/S0740-8188(01)00107-4

피인용 문헌

  1. Developing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for Public Library vol.47, pp.4, 2013, https://doi.org/10.4275/KSLIS.2013.47.4.335
  2. Factors Related to Quality in Child Care Services and Their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s of Users to Reuse Such Services vol.36, pp.5, 2015, https://doi.org/10.5723/KJCS.2015.3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