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Security System for Digital contents Rights Protection in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 보호를 위한 모바일 보안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김후종 (SK텔레콤 Plaform 연구원 Terminal 개발팀) ;
  • 나승원 (SK텔레콤 Plaform 연구원 Terminal 개발팀)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As wireless Internet speads widely, circulation of various types of digital contents become active. Therefore, it is necesary to make a mobile-based DRM (Digatal Rights Management) system to protect digital contents from illegal reproduction and to give proper rights to contents users, In this paper, we present a mibile security system, which protects the copyright for digital contents offered throughout the mobile environment. Our security system is focused on presenting mobile-based DRM architecture. Especially, considering mobile device's decrying power, we adopted partial encryption scheme. For this, wecompared and evaluated the performant of each contents encryption scheme (the entire encryption scheme and the partial encription scheme) and proved that a proper DRM system for current wireless devices is the partial encryption system. Our mobile DRM system can be very efficient to protect contents on the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무선 인터넷의 활성화와 함께 다양한 형태를 가진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불법 복제를 통한 컨텐츠 유통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컨텐츠의 이용 권리를 부여하기 위하여 모바일 환경에 기반한 디지털 저작 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유통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은 무선 환경에서 적용되는 모바일 환경에서 유통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복호화 처리 능력을 고려하여 부분 암호화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에 대하여 각 컨텐츠 암호화 방법(전체 암호화와 부분 암호화)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고 현재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적합한 DRM 시스템은 부분 암호화의 모듈을 적용한 시스템임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바일 DRM 시스템은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유통되는 컨텐츠를 보호하는데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Extensible Rule Markup Language Version 2.0, http://www.xrml.org, 2002
  2. F. Hartung, F. Ramme, 'Digital rights management and watermarking of multimedia content for m-commerce application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38, No.11, pp. 78-84, 2000 https://doi.org/10.1109/35.883493
  3. Joshua, D. Susan, K., 'Understanding DRM System,' An IDC White Paper, IDC, 2001
  4. L. J. Camp, 'First Principle of Copyright for DRM design,' IEEE Internet Computing, Vol.07, No.03, pp.59-65, 2003 https://doi.org/10.1109/MIC.2003.1200302
  5. Mobile DRM http://www.nds.com/mobile_solutions/mobile_ drm_solutions.html
  6. MPEG-21 Part 4 : MPEG-21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IPMP) Version 5,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002
  7. OMA Digital Rights Management Version 1.0, Open Mobile Alliances, 2002
  8. R. G. van Schyndel, A. Z. Tirkel, N. R. A. Mee, C. F. Osbome, 'A digital watermark,'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mage Processing, Austin, Texas, USA, Vol.2, pp.86-90, 1994
  9. 권순홍,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DRM 적용방법 설계', 정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9, No.1, pp.481-483, 2002
  10. 김정현, 윤기송, 박창순, 'MPEG-21 IPMP를 고려한 DRM기반 유통시스템 구현', 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대회, Vol.9, No.2, 2002
  11. 박봉련, 김태윤, '디지털 저작권 관리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제공하는 라이센스 관리 프로토콜',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B, Vol.30, No.2, pp.189-198, 2003
  12. 박주상, 윤기송, 박창순, 'Microsoft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 기술 분석 및 향후 시스템 개발 요소', 정보처리학회 추계학술대회, Vol.9, No.2, 2002
  13. 윤감규 역자, 전자보안시스템, 동일출판사, 1996
  14. 이용호, 이임영, '공개키 기반 구조에서의 키 복구 지원 메커이즘', 한국정보처과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9, No.1, pp.766-768, 2002
  15. 장우영, 신용탁, 신동일, 신동규, 'DRMA시스템에서 Publisher시스템의 설계', 한국정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8, No.2, pp.544-546, 2001
  16. 정재권, 류대길, 강한 공역, 보안과 암호화, 인포북, 2001
  17. 한국 디지털 콘텐츠 포럼, 디지털 유통 프레임 워크 구축 및 기술표준 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