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 of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on Okra (Abelmoschus esculentum) by a Neem Tree (Azadirachta indica) Product and Urea

멀구슬나무(Neem Tree) 부산물과 요소(Urea)를 이용한 오크라의 뿌리혹선충 억제

  • ;
  • 박소득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 ;
  • 신용습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 ;
  • 연일권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 ;
  • 배수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과채류시험장)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A neem based product, Suneem-G (granules) alone as well as in combination with urea was tested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on okra (Abelmoschus esculentum) in clay pots of 20-cm-diameter, containing 2 kg sterilized soil, inoculated with 2,000 freshly hatched second stage juveniles (J$_2$) of M. incognita. Application of different dosages of Suneem-G with or without urea significantly reduced nematode population and incidence of galling on okra roots and increased vegetative plant growth compared with the untreated control. Suneem-G with urea was the most effective and its effec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osage. Suneem-G 6 g+urea 25 g per pot gave maximum plant growth and root gall reduction, as plants shoot and root lengths were increased by 84 and 58% and root galling was reduced by 58%, respectively. The lowest dosage of Suneem-G alone, 2 g per pot increased shoot and root lengths of plants by 25.7 and 17%, respectively, and reduced root galling by 24%. The lowest effect was recorded in the pots treated with 25 g urea alone; shoot and root lengths were increased and root galling was decreased by 14% each.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에 대하여 멀구슬나무(Azadirachta indica) 부산물인 Suneem-G와 요소의 억제효과를 연구하였다. 폿트 당 살균토양을 2kg씩 넣고 M. incognita 2령기 유충 2,000마리를 접종한 후 오크라를 심고 Suneem-G를 처리하였다. Suneem-G의 처리량에 따라 유충 밀도 및 형성은 유의성 있게 차이가 있었고, Suneem-G와 요소를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그 효과는 상승하였으며, 선충 밀도가 낮을수록 오크라 식물체의 생장이 좋았다. 요소와 Suneem-G를 함께 처리한 조합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처리량의 증가에 따라 억제 효과도 증가하였다. 폿트 당 Sueem-G 6g과 요소 25g 조합의 처리에서 최대의 식물생육과 뿌리혹의 최대감소를 보였는데, 식물체 엽육과 뿌리의 길이가 84%와 58%나 높았으며, 뿌리혹은 58%나 감소하였다. Suneem-G의 최저 처리인 폿트 당 2g 처리에서 식물체의 엽육과 뿌리의 길이는 25.7과 17%까지 증가하였으며, 뿌리혹은 24% 감소하였다. 그러나, 요소 25g 처리에서 가장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식물의 엽육과 뿌리의 길이는 증가하였으며 뿌리혹은 14%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