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Search of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Handicraft Industry: Forcused on the Woodenware Handicraft

한국전통수공업의 육성과 방향

  • 한홍렬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some developmental strategies for traditional handicraft industry in Korean through focusing on its woodenware handicraft. Human beings built up the stone Age and also used the woodenware culture together with the stone culture. From the fact that there was a serious limit in preserving for the woodenware, the lacquered ware appeared. By dint of lacquering for a long time. The woodenware was used widely for an eating table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the Koryo Period, and the Yi Dynasty. Since the 1960s it was declined as the cheaper stainless and plastics came in the market. But, for the woodenware handicraft as the traditional handicraft industry some developmental strategies in terms of governmental policies are needed.

본 연구는 목기 수공업을 통해서 전통 수공업의 현황과 육성정책 및 방향을 모색하였다. 인류는 석기문화를 형성하였고 아울러 목기문화도 병용하였다. 목기문화는 보존이 불가능하여 곧 칠기 출현의 계기가 되었다. 옻칠은 방부, 방수의 역할을 함으로써 해서 오랫동안 보존이 가능하게 되었다. 목기는 삼국시대, 고려, 이조시대를 통하여 상용으로 널리 쓰였으나, 1900년대 이후 스테인 그릇, 플라스틱 그릇 등 저가의 상품이 등장하면서 쇠퇴의 길을 걸었으나 전통산업으로서 목기수공업을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정책과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