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nalysing the Practical Use of Bleeding Reduction Agent for Concrete

콘크리트용 블리딩저감제의 개발 및 실용성 검토

  • Published : 2003.04.01

Abstract

It is necessary to reduce bleeding, which is a kind of segregation of fresh concrete,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concrete structure. But, besides using high qualify material and adjusting mixture ratio, there is no easy solution to reduce bleeding by now. For that reason,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bleeding reduction agent and to investigate its application. The test results are following. At first, recommended mixture ratio of bleeding reduction agent is proven to be MC viscosity agent : defoaming agent : superplasticyzer of 1 : 0.004 : 0.2. It goes to prove that bleeding reduction agent does not have bad effect on the quality of concrete such as fluidity, air content and the strength of hardened concrete etc, and can reduce bleeding effectively.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bleeding reduction agent can be applied to construction field effectively.

블리딩은 재료분리의 일종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손쉬운 블리딩 저감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블리딩 저감대책으로는 재료의 고품질화 및 배합비를 조정하는 등의 방법 외에는 손쉬운 해결책이 없는 실정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블리딩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증점제 Type 블리딩저감제의 개발과 그 실용성을 검토한 것으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블리딩저감제의 개발은 MC 증점제 : 소포제 : 유동화제를 1 : 0.004 : 0.2의 비율로 혼합하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고. 또한, 개발된 블리딩저감제는 혼입률 증가에 따라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성, 공기량 및 경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내동해성 등 제반 품질은 변동 없고, 블리딩의 저감효과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실무에서 콘크리트용 블리딩저감제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콘크리트학회, '최신 콘크리트공학' , 기문당, 1997, pp.212-216
  2. 한천구, '콘크리트 특성과 배합설계' , 기문당, 1998, p.66
  3. A.M Nevile ; Properties of Concrete, Wiley, Fourth Edition
  4. 한천구, 황인성, '잔골재 및 혼화재료 요인이 콘크리트의 블리딩에 미치는 영향'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권 6호, 2002, pp.93-100
  5. 배정렬, 심보길, 황인성, 전충근, 한천구, '배합요인이콘크리트의 블리딩에 미치는 영향',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제 21권 제2호, 2001, pp.371-374
  6. P. J. Wainwright, H. Ait-Aider, 'The Influence of Cement Source and Slag Addidons on the Bleeding of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5, No. 7, 1995, pp.1445-1456 https://doi.org/10.1016/0008-8846(95)001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