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Compositions of the Highway Side Fogwater in Shingal, Kyunggi-Province

경기도 신갈지역 고속도로변 안개의 화학적 조성

  • 김홍률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생명자원과학연구원) ;
  • 주영특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정동준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생명자원과학연구원)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pH value of sampled fogwater at source regions (above highway and road) in Yongin sites showed the lowest value and was increased after passing the forest stands. Changes of ion concentrations through the forest stands showed a lowering tendency at sampling sites. The fogwater passing the forest stands (Quercus mangolica and Pinus rigida) surrendered acid pollutants to crown and stem from the atmosphere. It was concluded that environmental moisture in the atmosphere is acidified in fogwater. The influence was extended to the pure zone, and the frequency of acid rain has increased. The forests are assumed to remove air pollutants because ion concentrations in fogwater decreased after passing the forests. The fogwater which functions as a local sink for pollutants (H$_2$SO$_4$, HNO$_3$, etc.) falling on plant surfaces is considered to effectively remove acid pollutants. But if the deposition of pollutants exceeds the capacity of purification, it would damage the forest ecosystem.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identify tree species tolerant to acid pollutants.

최초 포집 되어 측정된 안개의 pH는 낮았으나, 산림을 통과하면서 임외우와 수관통과우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즉, 강우는 지표면 부근의 대기와 접촉하는 시간이 짧아, 국지적인 규모의 오염도에 대해서는 정확한 설명을 할 수 없는 반면, 안개의 경우는 그 발생이 지표면 부근의 대기라는 점에서 강우보다 소규모 면적의 대기오염에 대하여 효율적인 설명이 가능할 것(김만구 등, 1998)으로 보인다. 또한 최초 포집한 안개의 pH가 산림을 통과하면서 강우와 달리 높아진다는 것은 대기 오염 및 안개의 산성화에 대한 예방수단으로서 산림이 가지는 기능과 중요성을 극대화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개의 이온농도 변화는 최초 포집한 원점보다 산림지역에서 감소하였다. 그 중에서 $Ca^{2+}$, ,SO$_{4}$$^{2-}$ 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대부분의 이온농도는 산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많이 감소하였으며, 원점과 나지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작은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산림지역에서 나타나는 이온농도의 변화는 대체적으로 활엽수인 신갈나무에 비해 침엽수인 리기다소나무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산림지역에서 나타나는 변화 중에 안개가 산림을 통과하면서 산성화 물질을 비롯한 여러 오염물질 둥을 임목에 직접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것은 임외우가 산림에 강하하여 수관과 수간에 의해 산성화되고, 임목과 토양에 영향을 미친다(Baker et al., 1977; Cronan and Reiners, 1983)는 것과는 다른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수관은 공해물질을 포함한 대기 강하물을 집적하는 여과기와 같아 산업화된 환경에 대하여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의미(Amezaga et al., 1997; Park et al., 1999)를 갖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사육밀도의 증가는 물리적인 자극으로부터 개체들에게 더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폐사율을 높일 수 있는 열악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s the strategies on the revitalization and enhancement of small-sized retailers" productivities.에 종양을 가진 환자 치료 시 더욱 질 높은 방사선 치료가 실현될 것으로 기대한다. 30∼40% 정도 느렸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도 퍼레니얼라이그라스 100% 단일종류에 비해 20∼30%정도 늦었다. 따라서, 뗏장 재배시 여러 종류의 초종을 천편일률적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컨셉에 따라 적절하게 초종 및 품종을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5. 뗏장의 뿌리 형성 능력은 퍼레니얼라이그라스가 가장 좋았고, 가장 저조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다.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와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혼합구의 뗏장 형성 능력은 초종의 혼합비에 따라 뿌리 형성력 차이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퍼레니얼라이그라스 혼합비율이 많을수록 뿌리 형성 능력은 증가하였다. 6. 뗏장 수확시 잔디 품질은 단일 초종구의 품질이 혼합구에 비해 양호하였는데 가장 우수한 초종은 켄터키블루그라스였고, 톨훼스큐는 켄터키블루그라스 다음으로 중간정도, 그리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는 가장 저조하였다. 켄터키블루그라스는 균일한 잔디 면, 고밀도 및 예초 후 상태가 우수한 특성으로 품질이 양호하였고, 퍼레니얼라이그라스의 품질이 저조하였던 것은 초장이 길어 잔디 면이 누운 상태로 나타나 균일도 저하 및 예초 후 품질이 켄터키블루그라스나 톨훼스큐 보다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혼합구의 품질은 여러 종류가 혼합됨으로 인해 색상 및 밀도의 균일도가 떨어지고, 또한 예초 시 물결처럼 불균일하게 깎여 잔디 표면이 불량하였기 때문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만구, 인양석, 강미희, 장덕수, 1994a: 춘천지역 안개의 화학적 조성(제2보). 제 18회 대기보전 학술연구 발표회 요지집. p. 49-53.
  2. 김만구, 임양석, 강미희, 이선기, 최재천, 이민영, 1994b: 소백산 안개의 화학적 조성. 제19회 추계 대기보전 학술대회. p. 84-85.
  3. 김만구, 임양석, 박기준, 황 훈, 1998: 산성강하물의 침착량과 동태 해명에 관한 연구-춘천 지역 안개의 화학조성(1996-1997)-.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4(5), 491-498.
  4. 김만구, 정일권, 임양석, 박춘옥, 1993: 춘천지역 안개의 화학적 조성(제1보). '93 추계 환경 종합학술대회 요지집. p. 448-451.
  5. 산성우조사법연구회, 1996: 산성비 조사법. 도서출판 동화기술. pp.511.
  6. Cho, H. M., J. C. Choi, J. Y. Kim, Y. S. Shin and S. Kim, 1998: A study on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recipitation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from 1994 to 1997. Journal of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14(6), 589-598.
  7. Choi, J. C., M. Y. Lee, S. K. Lee and J. C. Nam, 1996: A study on chemical features of fog sample in summer at Mt. Sobaek. Journal of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12(4), 399-406.
  8. Collet, J. J., B. Oberholzer and J. Staehelin, 1993: Cloud chemistry at Mt. Rigi, Switzerland : Dependence on drop size and relationship to precipitation chemistry. Atmospheric Environment, 27A(1), 33-42.
  9. Falconer, R. E. and P. D. Falconer, 1990: Determination of cloud water acidity at a mountain observatory in the Ardirondak Mountain of New York Stat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5, 7465-7470.
  10. Falconer, R. E. and P. D. Falconer, 1990: Determination of cloud water acidity at a mountain observatory in the Ardirondak Mountain of New York Stat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5, 7465-7470.
  11. Howard, M. L. and J. M. James, 1981: Spatial variations of acid precipitation in southern California.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15(3), 333-334.
  12. Jeffrey, R. F., A. P. Robert and B. H. Carter, 1990: The chemistry of dews and frosts in Indianapolis, Indiana. Atmospheric Environment, 24A(8), 2229-2236.
  13. Joo, Y. T., H. O. Jin, Y. H. Son, J. M. Oh and D. Y. Jung, 1999: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recipitation and tree species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roughfall and stemflow.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8(2),149-156.
  14. Koo, J. K. and K. L. Park, 1993: A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 rain in Taejon city. Journal of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9(2), 147-153.
  15. Makoto, T., T. Akira and M. Ichikuni, 1990: Origin of soluble chemical species in bulk precipitation collected in Tokyo, Japan : Statistical evaluation of source materials. Atmospheric Environment, 24A(6), 1493-1500.
  16. Min. K. D., 1971: A study on the occurrences of fog along the Seoul-Busan express way. Journal of Korean Meteorology Society, 12(1), 13-24.
  17. Munger, J. W., D. J. Jacob, J. M. Waldman and M. R. Hoffmann, 1983: Fogwater Chemistry in an Urban Atmosphe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8, 5109- 5121.
  18. Park, J. H. and B. M. Woo, 1998: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of rainfall, throughfall, soil and stream water in small forested watershed.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7(1), 61-73.
  19. Park, K. T., G. E. Moon, J. G. Heo and H. B. Hong, 1995: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precipitations in Sungnam city of Kyunggi Province, Inchon city, Kangneung city of Kangwon Province, and Chongwon-gun of Chungbuk Province.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4(3), 285-294.
  20. Park, Y. D., D. K. Lee and D. Y. Kim, 1999: Nutrient dynamics in the throughfall, stemflow and soil solution of Korean Pine, Japanese Larch and hardwood stands at Kwangju-gun, Kyunggi-do.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8(4), 541-554.
  21. Patricia, S. M., A. W. Kimberly, H. C. Bradley, V. A. Thomas and R. A. Pribush, 1986: Fog chemistry at urban midwestern site. J. A. P. C. A. 36(12), 1359-1361.
  22. Zheng, L. and V. P. Aneja, 1992: Regional analysis of cloud chemistry at high elevation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Atmospheric Environment, 26A(11), 2001-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