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넷 시대의 사이버국토 구축방안

A Study on the Cyber-geospace Construction in the Evernet Age

  • 김영표 (국토연구원 GIS 연구센터)
  • 발행 : 2003.12.01

초록

이 연구는 사이버국토의 개념을 학문적으로 정립하고 사이버국토의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전국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국토 구축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 사이버국토란 지상과 지하 그리고 바다를 포함한 국토전체를 비롯하여 국토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과 건축물을 현실세계와 유사하게 디지털화 해 놓은 가상현실에서 국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공기관의 디지털 행정과 정책을 실현하며 기업의 경제활동과 국민의 일상생활까지 담을 수 있는 역동적인 제 2의 국토로서, 시공자재(時空自在)의 세상을 열기 위한 국가의 정보기반시설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사이버국토의 구축에는 10년 이상의 오랜 기간이 필요하므로 범정부 차원의 장기계획 하에 각급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aims at defining the concept of a cyber-geospace and proposing how to establish a cyber-geospace fir the entire country in detail. The study defined the cyber-geospace as 'the dynamic second territory of Korea not only to manage the land systematicality and deal with administrative services for the people in aspect of public sector, but also to contain economic activities of corporations and the citizen's everyday lives in aspect of private sector, in a 3D virtual reality made by digitizing various facilities and buildings as well as the entire toterritory including ground, underground and even sea'. In order to establish such a cyber-geospace, the project should be pursued on the national level fir around ten-year perio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