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ering Response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Dates and Day-length Treatment in Perilla

들깨 파종기와 일장처리에 의한 품종간 개화반응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o understand flowering response under diverse day-length condition and the movement of floral stimulus, we used six perilla accessions which showed diverse days to flowering. Though the growth phase was reported as irreversible betwee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stage, perilla showed reversible growth phase according to day length increase in May and June. When it sowed in March, flowering response was started in early May and vegetative and reproductive phase was coexisted in late June. When a part of a perilla plant was treated under short day condition, only apical buds on main stem or branches were flowered but other long day conditioned apical buds were not flowered. With this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floral stimulus can not be transferred to other part of perilla.

1) 들깨 속의 개화일수는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큰 변이를 보였다. 5월 1일 이후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품종간 차이가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8월 1일 파종기에서 품종간 5일로 가장 적은 개화일수 차이를 보였다. 2) 들깨 속은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개화반응이 다양하였다. 1월 1일 파종 및 5월 1일 이후 파종기에서는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정상적인 개화 반응을 보였으나, 2월에서 4월까지 파종한 경우에는 영양생장\$\longrightarrow$생식생장\$\longrightarrow$영양생장+생식생장\$\longrightarrow$근영양생장\$\longrightarrow$생식생장, 영양생장\$\longrightarrow$영양생장+생식생장\$\longrightarrow$영양생장\$\longrightarrow$생식생장, 상위분지는 영양생장만 하고 하위분지는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동시에 하는 등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가역 적으로 변화하였다. 3)들깨의 화성자극 이동방향과 분열조직에 있는 엽수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처리한 결과 단일 처리된 부위만 개화반응을 보여 들깨에 있어 화성자극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도꼬마리 등 다른 식물과는 상이하였다. 4)단일처리 기간에 따른 개화일수 단축은 9월 상순 이전에 개화하는 품종은 8일 처리로 효과가 있었으나 9월 하순에 개화하는 품종은 14일 처리에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會田 安, 渡邊弘三. 1965. 寒冷地方に おける 荏の 重要性て 栽培法の 改善. 農及 園. 30(6) : 793-797
  2. 1954. 荏に 關する 試驗成績. 東北農業 6(4, 5, 6) : 81-83
  3. JJacobs, W. P., and V. Raghavan. 1962. Studies on the floral histogenesis and physiology of Perilla. . Quantitative analysis of floweringin P. frutesceits(L.) Britt. phytomorphoIogy. 12 : 144~167
  4. Lam, S. L., and A. C. Leopold. 1961. Reversion and reinduction offlowering in perilla. Amer. J. Bot. 48(4): 306~310 https://doi.org/10.2307/2439343
  5. Lee, B. C. 1964. Studies on the Perilla Ocimoides L.(l) Cyto-Genetical Studies on the Perilla ocimoides L. K-yungbook Univ. ThesesColl. Vol. (8): 65~72
  6. Lona, F. 1946. Sui fenomeni di induzione post-effetto elocalizzazionefotoperiodica. Nuova Giorn. Bot. Ital. 53 : 548~575
  7. Moskov, B. S. 1941. On the photopenodic after-effect. Comp. Rend.(Doklady) Acad. Sci. USSR. 31 : 699~701
  8. Suge, H. 1984. Nature of floral stimulus in perilla as studied by grafting. (I) Method of evaluation and the movement of floral stimulusas affected by N6-benzylaminopurine. Japan. J. Crop. Sci. 53(4):423~429 https://doi.org/10.1626/jcs.53.423
  9. 山口長造. 1951. 寒家冷地向の油指作物 エごマの裁培. 農及園. 26(4) : 448~552
  10. Yu, I. S., 1974. Studies on the Responses to Day-length and Temperature and their Effects on the Yield of Pcrilla (Perilla ocimoides L.).Korean Soc. Crop. Sci. 17 : 79~114
  11. Zeevart, J. A. D. 1957. Studies on flowering by means of grafting..photopehodic induction as an irreversible phenomenon in Perilla.Proc. Kon. Nederl. Akad wetensch. Series C. 60 : 324~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