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와 RS를 이용한 토지피복 및 식생 분포의 시ㆍ공간적 변화 - 평안북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Spatio-Temporal Changes of Land Cover focusing on NDVI Using GIS and RS in Pyeongbuk Province, Northwest Korea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김남신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최한성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 신근하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발행 : 2003.12.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GIS 및 RS를 이용하여 평안북도 서부지역을 대상으로 1988년∼2001년 사이의 토지피복과 식생 분포의 시ㆍ공간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Landsat TM 및 ETM 영상을 사용하여, 기하 방사 보정 후, 감독 분류와 NDVI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평안북도 삭주, 대관, 구성, 의주 지역에서는 13년 동안 산림이 감소하고 시가지, 인간의 간섭에 의해 발생한 황무지, 범람과 사태 등의 자연적 요인에 의한 나대지 등이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DEM 분석을 통해 대부분 지역에서 고도가 높고 경사도가 큰 지역까지 시가지 개발 및 확장, 개간이 이루어지면서 더 많은 황무지가 발생하고, 비교적 높은 고도에서도 NDVI 값이 감소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이루어진 개발에 의한 것이며,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 방지, 안정적인 식량공급 등을 위해 많은 연구 및 해결책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patio-temporal change of land cover and vegetation distribution between 1988 and 2001 using remote sensing images and CIS techniques in west area of Pyeongbuk Province, northwest Korea. Landsat TM and ETM images are geometrically and radiometrically corrected for the analysis of land cover and NDVI. Forested areas are decreased during 13 year from 1988 to 2001 in study area including Sakju, Daegwan, Guseong and Euiju of Pyeongbuk Province, because wasteland are increased by human impact and denuded land by landslide and flooding. DEM analysis presents that settlement and cropland are developed toward higher and steeper mountain slope, together with decrease NDIV values. these changes have resulted from unplanned increase of cropland without consideration of geomorphic condition. Therefore, more researches and reasonable policies are required to protect forest and cropland and stable food supply against natural hazard like landslide.

키워드

참고문헌

  1. 한림지 v.78 no.3 Landsat TM data와 흑백적외선 항공사진을 이용한 임상구분에 관한 연구 김갑덕;이승호;김길민
  2. 국토계획 v.95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토지피복의 시계열 변화량 추출 김광래;이종성
  3. 지리학연구 v.32 no.4 위성 영상을 이용한 황해도 농촌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연구 김두일;한욱;정상조
  4.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DEM을 이용한 조계산 산림식생의 공간적 분포분석 김지은
  5.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Landsat TM 데이터와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산림분포 해석에 관한 연구- 금오산 지역을 중심으로 김철민
  6. 한국GIS학회지 v.8 no.2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식생지수(NDVI)분포 및 변화에 관한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성효현;박옥준
  7.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리모트 센싱과 GIS의 종합 및 그 적용기법에 관한 연구 연상호
  8.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DEM을 이용한 한반도 지형의 계량적 특성과 기반암질과의 관계분석 이금삼
  9. 대한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두만강 하류지역의 농경지 개간에 따른 환경문제 이민부;한욱;김남신;한주연;신근하;강철성
  10.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Landsat 화상자료를 이용한 산림식피변화에 관한 연구 이승호
  11.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 : 낙동강 하구지역을 사례로 조명희
  12. 북한지지요람 통일원
  13.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NOAA/AVHRR 자료를 이용한 북한 지역 지피식생 및 농경지 모니터링 황순욱
  14. P.E. & R. S. v.52 no.2 Thematic mapper and SPOP intergration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oodenough,D.G.
  15.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English Ed.) v.28 no.4 Diffusion equation models for geomorphic dating Lee,M.B.
  16. Geology of Korea Kim,S.J.(et al.)
  17. Remote sensing and GIS technologies for denudation estimation in Siwalik Watershed of Nepal Honda,K.;Samrakon,L.;Mabuchi,Y.;Miyajima,S.
  18. 12th ISCO Conference Assessment of erosion Risk with the Rusle and GI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Hanjiang River Shi,A.H.;Cai,C.F.;Ding,S.W.;Li,Z.X.;Wang,T.W.;Sun,Z.C.
  19. Guidelines for the RUSLE ver 1.06 on mined lands, construction sites and reclaimed lands Toy,T.J.;Foster,G.R.(ed.)
  20. Agricultural Handbook, 282 Predictiong rainfall 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Rocky mountains-guide for selection of practices for soil and water conservation Wischmeier,W.H.;Smith,D.D.
  21. Agricultural Handbook, 537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Wischmeier,W.H.;Smith,D.D.
  22. JAG v.3 no.1 Mapping and modeling mass movement and gulies in mountainous areas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techniques Zinck,J.A.Z.;Lopez,J.;Metternicht,G.I.;Shrestha,D.P.;Vazquez-Selem,L.
  23. 위성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북한 홍수피해 지역의 환경계측 김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