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학 전 아동의 식생활 행동이 사회적 능력 및 과잉 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Behavior on Social Competence and Hyperactivity of Preschoolers

  • 발행 : 2003.12.01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식생활 행동 변인이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발달을 결정하는 직접적 혹은 간접적 요인으로, 이들이 사회적 능력 및 과잉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하에 진행되었다. 즉, 가정이라는 한정된 환경에서 아동 교육 기관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노출되는 5∼6세의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 아동의 건강요인, 아동의 식생활 행동 등을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변인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 및 과잉 행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식생활 행동은 어머니가 평가한 결과보다는 교사가 평가한 결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P<0.05) 아동의 건강 상태는 교사가 측정한 아동의 식생활 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p<0.05).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아동의 활동 상태와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며(p<0.05). 수면 상태는 과잉 행동과 유의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p<0.001). 과잉 행동 가능성이 있는 아동과 그렇지 않은 아동을 분류하여 식행동을 비교한 결과, 과잉 행동 가능성이 있는 아동의 경우 교사가 측정한 아동의 식생활 행동 평가가 유의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p<0.05). 이러한 현상은 동일한 아동일지라도 어머니가 평가한 아동의 식생활 행동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교사가 측정한 아동의 식생활 행동 변인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과잉 행동에 직ㆍ간접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and hyperactivity among 330 children aged 5-6 years. Social competence and hyperactivity of the children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by both children´s mothers and their teachers using the same checklis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mothers´ assessment upon the association of food behavior with both social competence and hyperactivity (p<0.05). Health status was closely related to only the teacher´s food behavior assessment(p<0.05).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degree of children´s activity and the degree of hyperactivity was negatively related with their sleep status(p<0.05). The higher the teachers´ assessments on the children´s food behavior were, the higher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s were(p<0.05). However, thi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ood behavior and social competence were not observed by the mothers´ assess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od behavior assessed by the teachers, not by mothers, plays a role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hyperactivity.

키워드

참고문헌

  1. 서울여대 대학원 석사논문 식행동이 취학전 아동의 신체발달과 인지능력 및 과잉행도에 미치는 영향 - 취학전 아동을 대상으로 - 김경아
  2. 이화여대대학원 석사논문 과잉행동증과 관련 변인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명희
  3. 한국영양학회지 v.16 no.4 학령기 아동의 영양실태와 신체발달 및 행동에 관한 연구 김선희;김숙희
  4. 한국영양학회지 v.18 no.3 청소년기 식사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선효;임국이
  5.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제변인에 관한 연구 김정아
  6. 한국영양학회지 v.10 no.12 영양과 행동의 발달 김재은
  7. 어린이의 과잉행동과 치료 바바라 잉거솔;김동성(역)
  8. 한국영양학회 v.9 어린이의 식습관이 체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모수미;이미숙
  9. 연세논총 v.3 청소년의 식생활 행동, 성격 특성과 영양섭취상태에 관한 연구 문수재;윤진;이영미
  10. 한국영양학회지 v.20 no.4 어린이의 식생활 태도와 영양상태 및 성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수재;이명희
  11. 성신여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청소년의 패스트푸드식습관과 인성에 관한 연구 서영선
  12.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외동이의 사회적 능력 및 인지 능력발달에 관한 연구 송나리
  13.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취학전 아동의 인기도와 사회적 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간의 관계연구 안진석
  14. 아동학회지 v.3 취학전 아동의 인기도와 사회적 행동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간의 관계연구 안진석;정문자
  15. 한국음식문화연구원. 논문집 미취학 여린이의 영양외식과 섭식태도에 관한 연구 안홍석
  16. 대한가정학회지 v.22 아동의 식습관 및 식품 기호가 성격특성과의 관계연구 이향자;천종희
  17.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어머니의 인식 및 행동 최일선
  18. 아동학회지 v.9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인기도간의 관계 한성희
  19. Nutr Rev. v.44 Catch-up growth in children Ashworth,A.;Willward,D.J.
  20. Ann. Rev. Nutr. v.6 The impact of culture on food-related behavior Axelson,M.L.
  21. J Am Diet Assoc v.85 Water-soluble vitamins : Intakes and indicies in children Breskin,M.W.(et al.)
  22. Nutrition for your child's most important years Castle,S.
  23. Nutr Rev v.44 no.Suppl Double-blind challenge studies of behavior and cognitive effects of sucrose-aspartame ingestion in normal children Ferguson,H.B.;Stoddart,C.;Simeon,J.G.
  24. Human nutrition: Nutrition and behavior Galler,J.R.
  25. Pediatrics v.74 Effect of sugar on hyperkinetic children Gross,M.D.
  26. Sugar and Behavior In ; Nutrition and behavior new perspective Kanarek,R.B.;Marks-Kaufman,R.
  27. Behavior disorders of childhood Nelson,R.W.;Israel,A.C.
  28. J Consult Clin Psychol v.48 Dietary correlates of hyperactive behavior in children Printz,R.J.;Roberts,W.A.;Hartman,E.
  29. Nutr Rev v.158 no.suppl Diet and hyperactivity Rapoport,J.L.
  30. Hyperactivity : Current issue, research and theory, wiley series on personality process Ross,D.M.;Ross,S.A.
  31. Pediatrics v.66 Diet and hyperactivity: Is there a relationship? Stare,F.J.;Whelan,E.M.;Sheridan,M.
  32. 營養指導 藤澤良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