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ystem Furniture Design for Home Office in Korea

한국적 홈 오피스를 위한 통합 시스템가구에 관한 연구 - 30-40평형 아파트를 대상으로 -

  • 최경란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Importance of home office in domestic environment in Korea. In recent years, the distribution of network environment at home has been changed rapidly Each family member uses home office for various purpose. The home office in domestic living environment become a part of common use for all family memb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framework of design direction in terms of system furniture for home office within the limitation of current standard space at home such as typical apartment - 30 pyeong, 40 pyeong. The first step of study is to understand user space and user needs through the user survey. The second step is to find the right location and plan of home office in domestic environment. The last is to suggest the integral system furniture and elements that fits to the various situations of location according to the space and user type.

Keywords

References

  1. Neal Zimmerman, AIA 'HOME OFFICE DESIGN', Johe Wiley &Sons, Inc., 1996
  2. The Amencan Institute of Architects. 'Architectural Graphic Standards'
  3. 최동수, 정보사회론, 법문사, 1998
  4. 임정현, 재택근부를 위한 주거실내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1992
  5. 임연웅, 디자인 인간공학, 미진사, 1994
  6. 방은실, 재택근무의 유형별 업무특겅을 고려한 홈 오피스 계회엔 관한연구, 중앙대 건설대학윈, 2000
  7. 김상중, 정보화사회의 지택근무자를 위한 공간겨뵉에 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1999 참고
  8. 문경하, 재택근무를 위한 실내공간의 유형과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산업 미술대학원, 1998
  9. 최경란, 아파트 실내 가족 공용 공간 디자인 계발 계획, 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 전문 대학원, 2002
  10. 구본삼, 홈 오피스 계획을 위한 연구 - 사무실 근로자의 재택근무에대한 의식 및 홈 오피스 디자인 특성에 관한 선호 조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과, 1997
  11. 조성혜, 재택근무자의 시.공간 형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지리학과, 1999
  12. Candace ord manroe, THE HOME OFFICE, Reader's Digest, 1997 P.19
  13. Multiplex Interior Work Space Soho, 박혜경, 가구가이드, 1999넌 4월호, p127
  14. '68.3% 거실 좀 더 넓었으면', 동아일보, 2002년 5원 7일, 경제면
  15. IT산업등 '신새념 재택근무확산', 조선일보, 2001년 6원 15일, 1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