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s in Processing Type of Working Memory in Music Reading between Experts and Novices

악보 읽기에서 나타나는 전문가와 초보자의 작업기억에서의 처리 유형의 차이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processing type of working memory between experts and novices when they read music score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e articulatory suppression condition. In Experiment 1, eight half notes were shown on the screen for a brief period of time, participants were then requested to write the notes on a music sheet. the stimuli were divided into two: melodious and unmelodious. In similar fashion, Experiment 2 consisted of four-chord sequences, which contained three notes each. The stimuli were also divided into two: harmonious and disharmonious. As an analysis of the results in Experiment 1 & 2, novices commonly showed better performances in the non-articulatory suppression condition than the articulatory suppression condition with both stimuli types. However, experts were relatively affected little by the articulatory suppression with harmonious stimuli. These findings support that while novices entirely depend on the articulatory loop, experts may encode the notes through the visuo-spatial sketchpad before they transfer the information to the phonological store when they are familiar with material.

본 연구에서는 악보 읽기에서 나타나는 전문가와 초보자의 작업기억에서의 처리 유형의 차이를 연구하기 위해 조음 억제 조건을 사용하여 2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8개의 4분 음표가 스크린에 제시되었다가 사라지면, 참가자가 그 음표들을 기억해서 악보에 그리도록 했다. 자극은 선율적인 멜로디와 비선율적인 멜로디로 나뉘어졌다. 같은 방법으로, 실험 2에서는 각각 3개의 음으로 구성된 4개의 코드가 제시되었다. 자극은 화성적인 코드와 비화성적인 코드로 나뉘어졌다. 실험 1과 2의 분석 결과, 초보자는 공통적으로 조음 억제를 하지 않은 조건에서 조음 억제 조건보다 나은 수행을 보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화성적 자극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조음 억제의 영향을 덜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보자가 조음 루프에 전적으로 의지하여 음을 처리하는 반면, 전문가는 자극이 친숙할 경우, 조음 루프로 정보를 넘기기 전에 시공간 잡기장을 통해 음을 부호화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