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sitive effect of motion platform in virtual navigation

가상주행에서 모션플랫폼의 긍정적인 효과

  • 김영윤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 김은남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 고희동 (한국과학기술원 영상미디어센터) ;
  • 김현택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Published : 2003.03.01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 (VR) according to the use of motion platform. We recorded electrogastrogram, skin conductance, blood volume, skin temperature, heart rate, and the frequency of eyeblink before, during, after virtual navigation in 33 subjects. We used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presence questionnaire , and self-report to evaluate cybersickness and presence in VR system. All subjects experienced VR two times in Motion platform condition and non-Motion platform condition at two-week intervals. Presence score of motion platform condition was greater than non-motion platform condition.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cybersickne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motion platform condition than non-motion platform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motion platform that synchronizes visual presentation provides higher presence and reduces cybersickness.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사용자들이 모션베이스를 사용함에 따라 가상현실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33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모션베이스 평가설문과 자기보고를 통해 가상현실에서의 현실감, 재미, 멀미감을 조사하고 가상주행 전, 중, 후에 내장근전위, 피부전도도, 말초체온, 말초혈류량, 심박률, 눈 깜박임의 생리신호를 측정, 분석함으로써 모션베이스 유무에 따른 심리ㆍ생리적인 변수들에서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모든 피험자는 2주 간격으로 모션베이스 사용조건과 모션베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조건에서 두 번 가상현실을 경험하였다. 가상현실에 대한 현실감, 재미항목에서 모두 모션베이스를 사용한 조건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모션베이스를 사용한 조건에서 멀미보고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Tachyarrythmia의 상대파워 변화량과 PPG 최대진폭의 평균변화량 비교는 모션베이스를 사용한 가상현실 조건이 생리적인 요동을 적게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시각제시기와 동기화된 모션베이스를 도입함으로써, 가상현실에 대한 현실감은 높이면서 멀미감은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