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일본지도와 일본 인식

Maps of Japan and the Understanding of Japan in the Joseon Dynasty

  • 발행 : 2003.03.01

초록

조선은 교린정책을 바탕으로 일본과 교류하면서 일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입수하여 지도를 만들었다. 1403년에 제작된 $\ulcorner$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lrcorner$에는 행기도 계열의 상세한 일본지도가 수록되어 있고. 1471년 간행된 신숙주의 $\ulcorner$해동제국기$\lrcorner$에는 보다 정교한 일본지도가 실려있다. 이러한 성과는 15세기 대외인식의 개방성에서 기인하는 바가 컸다. 16세기 이후 주자성리학이 사회운영의 원리로 정착됨에 따라 화이관에 입각한 일본 인식이 강해졌다. 이 같은 경향은 일본지도에도 반영되어 민간에서 유행되었던 각종의 여지도책에 수록된 일본지도는 수록된 내용이 간결하고 지형의 윤곽도 많이 왜곡되어 있다. 이러한 흐름과 별도로 통신사의 왕래가 활발해지면서 상세한 일본지도들이 유입되어 제작되었고.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일본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The Joseon had made maps of Japan with information that gained during the exchanges with Japan on the basis of the polio of maintaining amicable relations. The elaborate map of Japan similar to Haenggido was in Honilgangniyokdaekukdojido(Map of integrated lands and regions of historical countries and capitals, made in 1402, and more accurate map of Japan was found in Haedongjegukgi(Chronicle of the countries of the Eastern Sea, compiled by Sinsukju in 1471. These products were due to openness of foreign exchanges in 15th century. After 16th century, understanding of Japan based on China-centric view was intensified, as the confucianism of Chu-tzu planted its roots deeply in Joseon society as the social doctrine. These tendency were reflected in the map-making, accordingly many kinds of maps of Japan in the atlas were meager in contents and distorted in shorelines. Apart these currents, as comings and goings of official envoy became brisk, elaborated maps of Japan were imported and copied in the Joseon dynasty. Consequently these maps helped the elites of Joseon to raise understanding of Japan.

키워드

참고문헌

  1. 韓國學報 v.94 정조시대 동아시아 인식의 새로운 경향 배우성
  2.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 정조시대 동아시아 인식과 <해동삼국도> 배우성;정옥자(외)
  3. 지리학논총 no.24 鄭尙驥의 동국지도에 관한 연구 -제작과정과 사본들의 계보를 중심으로 吳尙學
  4.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朝鮮時代의 世界地圖와 世界 認識 吳尙學
  5. 미술자료 no.51 恭齊 尹斗緖의 학문 李乃沃
  6. 미술사연구 창간호 尹斗緖의 繪書世界 李英淑
  7. 국사관논총 v.76 通信使記錄을 통해 본 對日本認識 李元稙
  8. 학술원논문집 v.31 朝鮮前期의 世界地圖 李燦
  9. 문화역사지리 no.4 海東諸國記의 日本 및 琉球國地圖 李燦
  10. 朝鮮後基實學者의 日本權硏究 河宇鳳
  11.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古2802-1) 各國圖
  12. 錦溪集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한국문집총간 5) 魯認
  13. 東溟集 v.97 민족문화추진회 영인본(한국문집총간 71) 金世濂
  14. 영인본 明南樓叢書 崔漢綺
  15. 山海諸國,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한古朝60-16)
  16. 민족문화추진회 국역본 星湖僿說 李瀷
  1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신수15541) 睡隱看羊錄 姜沆
  18. 경인문화사 영인본 與猶堂全書 丁若鏞
  1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탈초본 신제亂藁 黃胤錫
  20. 국사편찬위원회 영인본(국역CD) 朝鮮王朝實錄
  21. 민족문화추진회 국역본 靑莊館全書 李德懋
  22. 아세아문화사 영인본 和國志 元重擧
  23. 국역해행총재 海사日記 趙嚴
  24. 秋岡コレクション 日本の古地圖 國立歷史民俗博物館
  25. 日本地理學史 藤田元春
  26. 繪地圖の世界像 應地利明
  27. 地圖の歷史-日本篇 織田武雄
  28. ビブリア v.70 朝鮮李朝時代に流行した地圖帳-天理圖書館所藏本を中心として 海野一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