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f Temporal Navigation System for Time-based Contents: Focused on Digital TV Systems

시간 기반 컨텐츠를 위한 항해 시스템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디지털 TV를 중심으로

  • 김현호 (LG텔레콤 서비스 개발실) ;
  • 김진우 (연세대학교 HCI Lab) ;
  • 박경욱 (SK 커뮤니케이션즈 컨텍스트 기술 연구소) ;
  • 박준아 (연세대학교 HCI Lab)
  • Published : 2003.10.01

Abstract

People are experiencing severe problems in temporal navigation as time-based contents and platforms become more popular Relatively limited research, however, has been conducted on temporal navigation compared to that on spatial navigation.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efficient temporal navigation aids for time-based contents. It proposes Time Navigator, a new temporal navigation system based on the episodic indexing theory, and evaluates its efficiency through two experiments with a computer-based simulator for digital TV The video contents of digital TV was focused on because it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ime-based contents and platforms. Our results indicate that Time Navigator helps people navigate time -based contents more effectively. Its effects increase as the contents include more narratives.

인터넷과 디지털 방송 둥의 확산으로 영화나 음악과 같은 시간 기반 컨텐츠(time-based contents)와 이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TV와 같은 새로운 정보기기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간 기반 컨텐츠를 위한 여러 가지 다양한 항해 지원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나 실증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시간 기반 컨텐츠를 항해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인 체계를 구축하고, 이에 따라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시간 기반 항해 시스템의 유용성을 실증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과학 분야에서 발전되고 있는 에피소딕 인덱싱 이론을 기반으로 시간 기반 항해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 이론에 따라서 서로 다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두 가지의 항해 지원 시스템으로 키 프레임(key frame)과 자동 되감기(auto-rewind)를 선정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두 차례에 걸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두 가지 시스템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한 실험 결과, 시간기반 항해 지원 시스템은 사람들이 시간기반 컨텐츠를 항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과 함께 채널 선택시 에피소딕 인덱싱에서 인출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컨텐츠의 장르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끝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ibbs, S., Breiteneder, C. and Tsichritzis, D., Data Modeling of Time-Based Media. In Proceedings of the MOD, (Minneapolis, 1994), 91-102 Gibbs, Simon;Breiteneder, Christian;Tsichritzis, Dennis 10.1145/191839.191856
  2. Rafey, R., Gibbs, S., Hoch, M. and Gong, H., Enabling Custom Enhancements in Digital Sports Broadcasts. in WEB3D '01, (Paderbon, 2001) https://doi.org/10.1145/363361.363384
  3. ReplayTV: http://www.replay.com
  4. TIVO: http://www.tivo.com
  5. Ampler, F. Designing navigation for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s MA, Linkopings, 1998
  6. 박지수, 이우훈, 일본 디지털 위성 방송 시청 형태 조사, In proceedings of KHCI (2001), pp. 263-268
  7. Rawolle, J. and Hess, T., New Digital Media and Devices, Journal of Media Management. 89-99
  8. Elliot, E. Watch, grab, arrange, see: Thinking with motion images via stream and collages MSVS, MIT media lab, 1993
  9. Drucker, S.M., Glatzer, A., De Mar, S. and Wong, C., SmartSkip: Consumer level browsing and skipping of digital video content. In Proceedings of the CHI 2002 (Minneapolis, Minnesota, 2002), 219-226 Drucker, Steven M.;Glatzer, Asta;De Mar, Steven;Wong, Curtis https://doi.org/10.1145/503376.503416
  10. Conklin, J. Hypertext: An introduction and survey, IEEE computer, 20(7), 17-41 https://doi.org/10.1109/MC.1987.1663693
  11. Hardman, L., van Ossenbruggen, J., Mullender, K.S., Rutledge, L. and Bulterman, D.C.A., Do You Have the Time? Composition and Linking in Time-based Hypermedia, In Proceedings of the HyperText, (Darmstadt, 1999), 189-196 https://doi.org/10.1145/294469.294515
  12. Miles, M., Cohen, J. and Wong, Y.Y., A magnifier tool for video data, In Proceedings of the CHI, (1992), 93-98 https://doi.org/10.1145/142750.142764
  13. Komlodi, A. and Marchionini, G., Key Frame Preview Techniques for Video Browsing, In Proceedings of the Digital Libraries 98, (Pittsburgh, 1998), 118-125 https://doi.org/10.1145/276675.276688
  14. Informedia: http://www.informedia.cs.cmu.edu
  15. Li, F.C., Gupta, A., Sanocki, E., He, L.-W. and Rui, Y., Browsing Digital Video, In Proceedings of the CHI, (The Hague, Amsterdam, 2000), 169-176 https://doi.org/10.1145/332040.332425
  16. Baddeley, A.D. and Hitch, G.J. Working memory. in Bower, G.H. ed. In Recent advances in learning and motivation, Academic Press, 1974, 47-89
  17. Tulving, E., Elements of episodic memory, in, Clarendon Press, 1983
  18. Tulving, E., Episodic memory and common sense: how far apart? Phil. Trans. R. Soc. Lond. 1505-1515
  19. Altman, E. and John, B.E. Episodic Indexing: A Model of Memory for Attention Events. Cognitive science, 23(2), 117-156 https://doi.org/10.1016/S0364-0213(99)00002-6
  20. Mallon, B. and Webb, B. Structure, Causality, Visibility and Interaction: Propositions for Evaluating Engagement in Narrative Multimedia, Int. J. Human-Computer Studies, 53, 269-287 Mallon, Bride;Webb, Brian 10.1006/ijhc.2000.0387
  21. Burton, G., Talking Television, Oxford, 2000
  22. Corner, J. Critical Ideas in Television Studies, Oxford, 1999
  23. 이우훈, 박지수, 류동석, 이지현, 가상 방송국을 기반으로 한 다채널 디지털 TV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래피드 프로토타이핑, In Proceedings of KHCI (2001), pp. 251-256
  24. Eronen, L. and Vuorimaa, P., User Interface for digital Television: a navigator case study. in AVI, (2000), 276-279 https://doi.org/10.1145/345513.345346
  25. Talking Television Burton,G.
  26. Critical Ideas in Television Studies Corner,J.
  27. Proceedings of KHCI 가상 방송국을 기반으로 한 다채널 디지털 TV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래피드 프로토타이핑 이우훈;박지수;류동석;이지현
  28. AVI User Interface for digital Television: a navigator case study Eronen,L.;Vuorima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