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Pig Slurry Application on the Forage Yield of Sorghum X Sudangrass Hybrid and Leaching of NO3-N in Volcanic Ash Soil

제주 화산회토양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수수 X 수단그라스의 생산성 및 NO3-N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pig slurry applications on the forage yield of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and leaching of $NO_3$-N in volcanic ash soil in Jeju. It was arranged as a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seven treatments: chemical fertilizer ($N-P_2$$O_{5}$ $-K_2$O=200-l50-150kg/ha), pig slurry 200kg N/ha, pig slurry 300kg N/ha, pig slurry 400kg N/ha, pig slurry 100kg N/ha+chemical fertilizer 100kg N/ha, pig slurry 150kg N/ha+chemical fertilizer 100kg N/ha, pig slurry 200kg N/ha+chemical fertilizer 100kg N/ha. The mean dry matter yield of Sorghum${\times}$Sudan grass hybrid per ha for 4 years(1998 to 2001) was higher(p<0.05) in pig slurry 300kg N/ha(l7,279kg) and pig slurry 400kg N/ha(17,817kg) treatments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The $NO_3$-N concentrations of leaching water at soil depth 30cm in all treatments were excess the standard of WHO with level of $10.0mg/\ell$ on 20 days of the seeding, but this $NO_3$-N concentrations found to be below $5.0mg/\ell$ on August.

제주지역 화산회토양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는 사료작물인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 재배시 돈분액비 중 질소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수준별 돈분액비를 기비로 사용하였을 때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조구로 화학비료 ($N-P_2$$O_{5}$ $-K_2$O=200-l50-150kg/ha), 단용구, 돈분액비 200kg N/ha, 돈분액비 300kg N/ha, 돈분액비 400kg N/ha 단용구, 돈분액비 100kg N/ha+화학비료 100kg N/ha, 돈분액비 150kg N/ha+화학비료 100kg N/ha, 돈분액비 200kg N/ha+화학비료 100kg N/ha 혼용구 등 7처리를 두어 난괴법 3반복으로 하여 4년 동안 수행되었다. 수수${\times}$수단그라스 교잡종의 4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돈분액비 400 및 300kg N/ha 단용구가 각각 17,817와 17,279kg/ha으로 화학비료구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량을 보였다(P<0.05). 토양 용액중 질산태 질소 함량은 시용초기(시용후 20일)인 6월 조사시 전 처리구에서 음용수 기준인 $10.0mg/\ell$보다 높았으며, 장마가 지난 후 8월 조사시에는 전 처리구에서 $5.0mg/\ell$이하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ed.(Ed. S. Williams). A.O.A.C. Arlington. VA
  2. Ashaf, M and Habib-ur-Rehman. 1999. Interactive effects of nitrate and long-term waterlogging on growth, water relations, and gaseous exchange properties of maize. Plant Sci. 144:35-43 https://doi.org/10.1016/S0168-9452(99)00055-2
  3. Burden. R.J. 1984. Nitrate contamination of New Zealand aquifers: a review. New Zealand J. of Science. 25:205-220
  4. Carey, P.L., A.W. Rate and K.C. Carmeron. 1997. Fate of nitrogen in pig slurry applied to a New Zealand pasture soil. Aust. J. Soil Res., 35:941-959 https://doi.org/10.1071/S96088
  5. Estavillo, J.M., C. Gonzalez-Hurua and M. Lacuesta. 1997. Effects of cattle slurry and mineral N fertilizer applications on various components of the nitrogen balance of mown grassland. Plant and Soil. 188:49-58 https://doi.org/10.1023/A:1004248228162
  6.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397. ARS. USDA Beltsvile
  7. Long, F.N.J. and H.I. Gracey. 1990. Herbage production and nitrogen recovery from slurry injection and fertilizer nitrogen application. Grass and Forage Science 45:77-82 https://doi.org/10.1111/j.1365-2494.1990.tb02184.x
  8. Paul J.A. Withers, Hamish G. McDonald, Kenneth A. Smith and Coling G. Chumbley. 1998. Behaviour and impact of cow slurry beneath a storage Lagoon : 1. Groundwater contamination 1975-1982.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07:35-49 https://doi.org/10.1023/A:1004923631734
  9. Stout W.L., S.A. Fales, L.D. Muller, R.R. Schnabel, W.E. Priddy and G.F. Elwinger. 1997. Nitrate leaching from cattle urine and feces in northeast USA. Soil Sci. Soc. Am. J. 61:1787-1794 https://doi.org/10.2136/sssaj1997.03615995006100060034x
  10. Van Eerdt, M.M and P.K.N. Fong. 1998. The monitoring of nitrogen surpluses from agriculture. Environmental Pollution, 102, S1:227-233 https://doi.org/10.1016/S0269-7491(98)80037-7
  11. Wells, K-L. 1996. The agronomics of manure use for crop production. Univ. Kentuky. College of Agriculture, Cooperative extension service. AGR-165
  12. 김원호, 신동은, 최기준, 정의수, 김영진. 2000. 혼파초지에서 우분액비 시용수준이 유거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축산시설환경 6(1):53-57
  13. 농촌진흥청. 1988. 토양화학분석법. 농촌진흥청
  14. 류종원. 1997. 초지에서 액상분뇨 시용이 토양의 질소동태 및 $No_{3}$ 용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7(1):43-50
  15. 박남건, 고서봉, 고문석. 2002. 미생물제제 이용 처리 발효돈분액비 시용이 수수교잡종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축산시설환경 8(1):35-42
  16. 신재순. 이혁호, 신동은, 조영무, 정의수, 이종경, 윤세형. 1999. 젖소 액비 시용방법이 담근먹이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잡종의 생산성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9(4):333-338
  17. 육완방. 최기춘. 2002a. 액상발효우분 및 요소의 N 시용수준이 옥수수의 생산성과 N의 용탈에 관한 연구. 한초지 22(1):37-44
  18. 육완방, 김범준, 최기춘, 곽병관. 2002b. Lysimeter에서 돈분 및 화학비료의 시용수준이 옥수수의 생산성 및 N과 P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2(2):85-92 https://doi.org/10.5333/KGFS.2002.22.2.085
  19. 전병태, 이상무. 김재영, 오인환. 1995. 액상구비시용이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토양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5(1):52-60
  20. 조석진. 2000. 선진국형 친환경 축산업 발전 심포지엄. I.한우산업의 경쟁력 기반 구축과 친환경 경영기술의 정착 방안. 농림부.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