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fe Course of Poor Female Household Heads: A Qualitative Analysis

빈곤 여성가장의 삶의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옥선화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 성미애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 이재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and described the life course of poor female household heads. The data was gather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thirteen poor female heads of households. Most of poor female household heads grew up in poor families. nev could not be educated properly due to their families' poverty and boy preference, and they moved to urban areas to become informal sector laborers. After the marriages, their living conditions became worse, because many of them got married to so lazy men who had alcoholic problems that were not willing to provide their families. The poor female heads of households were under difficulties owing to low income and unstable labor Condition. The economic hardship disturbed the interaction with kins and friends. Although they got in touch with these people, they had uncomfortable feelings because they did not have enough resources which made these relationships reciprocal. Therefore, social welfare policy were essential to support the poor female heads of households.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희(1996). 빈곤층 편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부모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수영(2001). 한국의 산업화과정과 가족. 여성. 진보평론, 7, 57-55
  3. 김영모(1990). 한국빈곤연구. 서울: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4. 김주숙(1990). 농업생산구조의 변화와 가족: 1976-87. 영성한국사회연구회 편, 한국가족론. 서울: 까치
  5. 김주숙(1994). 한국농촌의 여성과 가족. 서울: 한울아카데미
  6. 김주희(1992). 도시 저소득층 가족의 친족문제. 한국가족학연구회. 도시 저소득층의 가족문제. 서울: 하우. 131-150
  7. 김태현(1992). 도시 저소득층 가족의 노인문제. 한국 가족학연구회. 도시 저소득층의 가족문제. 서울: 하우. 99-130
  8. 김태현, 조희선(1991). 모자가족과 부부가족간의 가족스트레스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가족학논집, 3, 99-129
  9. 박미령(1992). 도시 저소득층 가족의 부모. 자녀문제. 한국가족학연구회. 도시 저소득층의 가족문제. 서울: 하우. 55-98
  10. 박재홍(1999). 기성세대의 생애사와 세대차이에 관한 연구: 질적 접근. 한국사회학, 33, 257-296
  11. 박충선, 정영숙(1997). 편부모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존전략과 복지대책 방안에 관한 연구. 성곡논총, 28(3), 393-450
  12. 박혜인(1992). 현대사회와 도시 저소득층 가족. 한국가족학연구회. 도시 저소득층의 가족문제. 서울: 하우. 7-28
  13. 신화용, 조병은(1996). 편부모가 인지한 가족환경과 사회. 심리적 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 '96 가정복지세미나 늘어나는 편부모 가정-그들의 현실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제- 자료집. 7-31
  14. 옥선화(1992). 도시 저소득층 가족의 부부문제. 한국가족학연구회. 도시 저소득층의 가족문제. 서울: 하우. 29-54
  15. 옥선화, 성미애, 배회분, 이재림(2002). 빈곤 여성가장의 대처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6), 223-243
  16. 옥선화, 성미애, 허정원(2001). 경제위기 이후의 빈곤 여성가장의 생활실태 조사. 대한가정학회지, 39(2), 1-14
  17. 정동익(1989). 도시빈민연구. 서울: 도서출판 아침
  18. 정문자, 이미리, 어주경(1998). 도시 저소득층 가족의 제특성과 주부의 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6), 13-26
  19. 정현숙, 서동인(1996). 편부모가정의 자녀가 인지한 가족환경과 사회. 심리적 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 '96 가정복지세미나 늘어나는 편부모 가정- 그들의 현실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제- 자료집. 37-64
  20. 조용환(1999). 질적연구 -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1. 한상진(1993). 빈곤문제. 고영복 편. 현대사회문제.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112-146
  22. Mills, C. W. (1975).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강희경, 이해찬 역(1978). 사회학적 상상력. 서울: 홍성사.
  23. Zaretsky, E. (1978). Capitalism, The Family, & Life. 김정희 옮김(1983). 자본주의와 가족제도. 서 울: 한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