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n Contents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of the 7th Curriculum - Focused on "Home Economics & Technology" for 7th, 8th Grade -

7차교육과정의 학교소비자 교육 내용분석 - 중학교 1, 2학년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3.0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nsumer education system in middle school’, whether it is suitably organized to help students make the right decision in their daily life as a rational consumer in this fast changing “the Informational Society”. We divided the consumer education of “the Informational Society” into 4 fields of studies(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decision making on purchasing, consumer financial management, and consumerism) and made specific analysis for this research. The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which follows ‘The 7th curriculum’ conducted by “Korean Educational Board”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first and second grade in middle school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results founded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curriculum analysis according to the 4 fields of consumer educatio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textbook had 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as the major portion of the consumer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ade levels showed that the second grade level has higher portion of consum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 Technology” textbook than the first grade level. Third, the present status of consumer education showed that the first grade level's consumer education was only limited in 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but the second grade level's consumer education was ranging evenly throughout the 3 fields of consumer education: 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decision making on purchasing and consumerism.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and desirable curriculum for the adolescent' consumer education, specially for school consumer education, in “the Informational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옥, 김난도, 이승신(2001). 소비자정보론. 시그마프레스
  2. 권태환, 조형제 (1997). 정보사회의 이해. 미래미디어
  3. 김영옥, 이기춘(1991). 아동소비자교육 내용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 국민학교의 소비자교육 내용 및 교사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 (서울대학교 가정대학 생활과학연구소), 제16권
  4. 김기옥(1999). 학교 아동 소비자교육내용의 구성과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시월(2001). 소비자 교육 내용 및 소비자 특성별 소비자 교육용 시청각 교구 개발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2(1)
  6. 교육부 (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
  7. 문교부 (1988). (중학교)실업 . 가정과 교육과정해설 : 기술. 가정.가사
  8. 배윤정 (1999), 정보사회의 소비자교육내용 체계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배윤정, 김기옥(2000). 정보사회의 소비자교육내용 구성에 대한 전문가-소비자의 의견 비교분석. 대한가정학회, 38(12)
  10. 박명희, 이승신, 박수혁, 이참범, 박미혜 (2000). 21세기 소비환경의 변화에 따른 학교 소비자 교육의 방향. 공정거래위원회 정책보고서
  11. 박명희(2002). N세대를 위한 소비자 교육정책연구 : 사회적 지원시스템의 구축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2)
  12. 박재선, 문숙재(1985). 소비자교육프로그램의 체계화에 관한 연구-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
  13. 박혜경 (1992) 소비자교육론. 수학사
  14. 박재선 (1984). 소비자교육프로그램의 체계화에 관한연구: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성수광, 권오경 (1995). 섬유제품소비과학. 교문사
  16. 서정희 (1991). 소비자주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今井光映, 中原秀樹 著/정용선, 김병숙, 서정희, 제미경, 김민정 譯(1998). 소비자교육론. 하우
  18. 이기춘, 이승신(2000). 소비자교육연구의 전개와 새로운 지평. 소비자학연구, 11(2)
  19. 안승철, 신남경(1999). 중. 고등학교의 소비자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분석. 자원문제연구논문집, 18(1)
  20. 이기춘, 서정희(1992).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소비자교육의 강화방안: 소비자교육 관련 교과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0(2)
  21. 이승신(2002). 21세기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청소년의 생활 교육-청소년 소비생활교육 프로그램- 대한가정학회 심포지엄
  22. 이준영 (1995). 현행 소비자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중학교 소비자교육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윤정혜 외 6(2001). 소비자재무설계. 상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방향
  24. 이기춘, 박정희, 권훈정, 김난도(1999). 정보화. 세계화를 중심으로 한 생활과학의 새로운 지평. 대한가정학회지. 37(7)
  25. 이기춘 (1999). 소비자 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문사
  26. 이기춘 (1985). 소비자능력 개발을 위한 소비자교육에 관한 연구: 청소년 소비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7. 이득연, 송순영 (1993). 소비자교육 관련 교과서 내용 집필 방향. 한국소비자보호원
  28. 이천표(1998). 21세기 정보화사회의 준비 'IMF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 정보통신정책세미나' 발표자료, http://www.kisdi.re.kr
  29. 최윤선 (1989). 소비자교육의 체계화 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중. 고등학교의 소비자교육관련 교사를 대상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최동수 (1998). 정보사회론. 법문사
  31. 최진석 (1997). 한국정보사회론. 홍익제
  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중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
  33. 성화경 외 9(2002). 기술. 가정 1, 2 동화사
  34. 송혜균 외 7(2002). 기술. 가정 1, 2 대한교과서
  35. 이승신 외 7(2002). 기술. 가정 1, 2 천재교육
  36. 정성봉 외 7(2002). 기술. 가정 1, 2 (주)교학사
  37. 이상혁 외 11(2002). 기술. 가정 1, 2 (주)두산
  38. 윤인정 외 6(2002). 기술. 가정 1, 2 교학연구사
  39. 김판욱 외 8(2002), 기술. 가정 1, 2 (주)지학사
  40. 이봉구 외 6(2002), 기술. 가정 1, 2 금성
  41. 봉공진 외 5(2002), 기술. 가정 1, 2 형설
  42. 최하식 외 6(2002), 기술. 가정 1, 업투
  43. Dickinson, V. H. (1980). Consumer Education A Developmental Approach. Proceedings of the 26th Annual Conference of American Council on consumer Interests
  44. European conference on consumer education in schools (1994). Copenhagen: Nordic Council of Ministers
  45. Giordan, Marion (1980). Consumer Education: A Handbook for teachers, London; Methuen & Co Ltd
  46. Herrmann, R. O. (1982).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ontent of Consumer Education: An Examination of Selected High School Texts, 1938-1978, The Journal of Consumer Affairs, 16(2), 195-253 https://doi.org/10.1111/j.1745-6606.1982.tb00172.x
  47. IOCU (1992). Consumer Education:Theory, Practice and Development
  48. Michigan Consumer Education Center and National Consumer League (1980). Consumer Education Development Program
  49. U.S. office of Education: Some selected Definitions of Consumer Education, 1972
  50. Wilcox, S.D. The Educated Consumer: An Analysis of Curriculum Needs in Consumer
  51. Education, Consumer Education Development Program, A National Study,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