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rn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현대적 원근법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reative perspective technique in fashion illustration through analyzing perspective in visual art experienced a great variety. This study was analyzed by examining the general theories based on the discovery of perspective and investigating the modern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 related to the method of spatial expression in visual art. A complex perspective of existing perspective gives the effect of reapperance of actual space and three-dimentional form in a plane. Because of being used as not only one perspective technique but also some perspectives technique, its expression can be more realistic. An amplified perspective gives the effect of visual illusion just like being suck in space inside and come out from screen outside by distorting the human body. A confused perspective of space gives the visual illusional effect of collapsing actual space and misunderstanding three-dimensional form by distorting the form of the space and changing the nature as an object of fashion. A reiterated or duplicated perspective gives effect of interpreting invisible space as imaginary space by overlapping and eliminating the object of fashion. An irrational perspective of spatial illusion gives the effect of disorganization experienced thinking by strange shapes and new recognition of irrational space by extraordinary visual connection. It has a tendency to surrealism. In conclusion, the modern persp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 has made the best use of not only new perspective since 1980, but general perspective before 1980. By the modern perspective expression. the viewer has made a chance to experience imaginary spaces indirectly, and the author has been able to express emotions by his or her new attempt in the screen.

Keywords

References

  1. 박용숙 (1986). 회화의 방법과 구도. 서울: 집문당, p. 89
  2. 교학사 (1994). Kyohaksa's english-korean dictionary. 서울: 교학사. p. 1814
  3. Nagumo. Haruyoshi. 박영원 역 (1998). 시각표현. 서울: 국제. pp. 78-79
  4. 주은우 (1998). 현대성의 시각체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7
  5. 이선미 (1998). David Hackney의 다중원근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6. Gombrich. E. H. 차미예 역 (1989). 예술과 환영 : 회화적 표현의 심리학적 연구. 서울: 열화당. pp. 290-295
  7. 이두희 (2001). 원근법의 해체과정과 현대적 시각의 의미변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2
  8. 이진경 (1997). 근대적 시 . 공간의 탄생. 서울: 푸른숲. pp. 56-57
  9. 이두희 (2001). 원근법의 해체과정과 현대적 시각의 의미변화.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4
  10. 박용숙 (1986). 회화의 방법과 구도. 서울: 집문당. pp. 15-200
  11. 김주성 (1984). VISUAL ART 에 있어서 空間表現의 視覺的 ILLUSION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은 (1999). 2차원의 중첩효과를 이용한 공간 표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Laura. D. A. 이대일 역. (2002). 조형의 원리. 서울 : 미진사
  14. 김성운 (1997). 광고VISUAL에서의 과장원근법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Kepes. G. 유한태 역. (1989). 시각언어. 서울: 대광서림
  16. 박선의, 최호천 (1989).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서울: 미진사. p. 46
  17. 김성운 (1997). 광고VISUAL에서의 과장원근법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18. Laura. D. A. 이대일 역. (2002). 조형의 원리. 서울 : 미진사, p. 201
  19. 이영욱 (2003. 8. 7) 세계사진가탐구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ackney). 줌 인 웹진 자료검색일 2003. 8. 14. 자료 출처 http://zoomin.co.kr
  20. Arnheim, R (1995). 미술과 시지각. 서울: 미진사, p. 114
  21. 김복영 (1985), 현대미술연구. 서울: 정음문화사. pp. 199-200
  22. Arnheim, R (1995). 미술과 시지각. 서울: 미진사, p. 115
  23. 김정은 (1999). 2차원의 중첩효과를 이용한 공간 표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24. Kepes, G. 유한태 역. (1989). 시각언어. 서울: 대광서림, p. 77
  25. Gombrich. E. H. 차미예 역 (1989). 예술과 환영 : 회화적 표현의 심리학적 연구. 서울: 열화당. pp. 273-274
  26. 김주성 (1984). VISUAL ART 에 있어서 空間表現의 視覺的 ILLUSION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3-25
  27. 성유정, 유영선 (2001). 시각 예술의 형식을 활용한 창의적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복식, 52, p.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