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ganic Matter and Nutrient Budget of Constructed Tidal Flat in Gapo Area of the Masan Bay, Korea

마산만 가포지역 인공갯벌의 유기물 및 영양염 수지

  • 안순모 (경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백봉주 (경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Dredged material during Masan Bay cleaning in 1990-1994 was deposited in Gapo area. The site provides an ideal experimental condition to monitor environmental remediation and benthic ecosystem stabilization processes after the disturbance. Sea water samples were taken during one tidal cycle in one hour interval from Oct. 2001 to Apr. 2002 (4 times) to estimate the organic matter and nutrient fluxes in Gapo area. Hourly material fluxes were estimated from the water balance estimated from 3 dimensional topography of Gapo area and from material concentration. Net material fluxes were estim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otal influx and total outflux during one tidal cycle. Chemical oxygen demand showed net outflux in Nov. 2001, Dec. 2001 and Apr. 2002 (2.2∼3.9 g m$\^$-2/ h$\^$-1/) and showed net influx in Mar. 2002 (1.4 g m$\^$-2/ h$\^$-1/). Ammonium showed net outflux during the study (0.1∼118 mg m$\^$-2/ h$\^$-1/m-2h-I). According to this investigation, Gapo area was a source rather than a sink of organic matter. However, the variability of the material fluxes was high so that a long term study may be required.

마산만에 연한 가포지역은 1990년에서 1994년 사이에 이루어진 마산만 준설공사 시 오염퇴적물이 투기된 지역으로서, 인공갯벌 조성에 따른 자연정화능력과 저서생태계의 반응을 살필 수 있는 이상적인 연구 장소이다. 이곳의 유기물과 영양염의 유동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2001년 말부터 2002년 초까지 4차례에 걸쳐서 1-조석 주기 동안 l시간 간격으로 해수를 채취하였다. 3차원 해저지형도에서 시각별 해수 유동량을 추정하고 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각 시간동안 물질의 유입과 유출을 구하였다. 1-조석주기 동안 총유입량과 총유출량을 비교하여, 순유입, 유출을 추정하였다. 유기물의 양을 대표하는 화학적산소요구량은 2001년 10월과 12월 그리고 2002년 4월에 2.2∼3.9 g m$^{-2}$ h$^{-1}$로 순 유출 되었고 2002년 3월에만 1.4 g m$^{-2}$ h$^{-1}$의 순유입이 있었다. 암모니움 이온은 모든 계절에서 0.1∼118 mg m$^{-2}$ h$^{-1}$의 순유출을 나타냈다. 본 조사 기간 중 가포지역의 인공갯벌은 유기물이 분해 되기보다는 생성되는 곳이었다. 그러나 유동량은 조사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여, 가포지역이 유기물 분해에 기여하는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조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BSPN 00205-613-2 폐쇄성 연안역의 수질관리기술 연구(Ⅰ) 강시환
  2. 한국해양학회지 v.29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 유공층의 안정동위원소 성분 박병권;이광식
  3.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진해만 생태계에 있어서 미생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의 분석 안태영
  4. 수질시험 양운진
  5. 한국해양학회지 v.30 곰소만 조간대의 현생 유공층과 표층 퇴적물의 특성: 고환경 해석에 적용 가능성 우한준;장진호;한상준
  6. 한국수산학회지 v.32 no.4 갯벌의 오염물질 정화능력평가 유선재;김종구
  7. 한국물환경학회지 v.15 no.4 농촌지역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습지실험시설의 3년간 실험결과 검토 윤춘경;권순국;우선호;권태영
  8. 퇴적오니 준설과 해양환경변화 이찬원;권영택
  9. 한국수산학회지 v.27 no.2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상태1. 저서환경 임현식;홍재상
  10. 한국수산학회지 v.27 no.2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상태2. 우점종의 분포 임현식;홍재상
  11.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1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제4기 층서와 해수면 변화 장진호;박용안;한상준
  12. 한국해양학회지 v.28 황해 곰소만 조간대에 발달한 Chenier의 퇴적학적 특성과 진화 장진호;전승수;권수재;신동혁;한상준;박용안
  13. BSPM118-00-1370-3 갯벌 생태계 조사 및 지속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제종길
  14.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5 no.3 자연정화작용연구: Ⅰ갯벌과 농지 상층수중 유.무기 원소의 거동에 관한 예비연구 최강원;조영길;최만식;이복자;현정호;강정원;정희수
  1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해양수산부고시 제1988-4호 해양수산부
  16. Limnol. Oceanogr. v.46 no.1 Enhancement of coupled nitrification dentrification by benthic photosynthesis in shallow estuarine sediments An,S.;S.B.Joye https://doi.org/10.4319/lo.2001.46.1.0062
  17. Mar. Ecol. Prog. Ser. v.237 dissimilatiry nitrate reduction to ammonium(DNRA) as a nitrogen link, versus dentification as a sink in a shallow estuary(Laguna Madre/Baffin Bay, Texas) An,S.;W.S.Gardner https://doi.org/10.3354/meps237041
  18. Limnol. Oceanogr. v.33 Comparision of microbial dynamics in marine and freshwater sediments: Contrast in anaerobic carbon metabolism Capone,D.G.;R.P.Kiene https://doi.org/10.4319/lo.1988.33.4_part_2.0725
  19. Ecol. Eng. v.4 An assessment of ecological conditions in a constructed tidal marsh and two natural reference tidal marshes in coastal Virginia Havens,K.J.;L.M.Varnell;J.G.Bradshaw https://doi.org/10.1016/0925-8574(94)00051-6
  20. Nitrogen cycling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s Nitrification in estuarine and coastal marine sediments: Methods, patterns and trgulating factors Henriksen,K;W.M.Kemp;Blackburn,T.H.(ed.);J.Sorensen(ed.)
  21. Wat. Res. v.32 no.9 Factors to determine thefuncations and structure in natural and constructed tidal flats Lee,J.G.;W.Nishijima;T.Mukai;K.Takimoto;T.Seiki;K.Hiraoka;M.Okada https://doi.org/10.1016/S0043-1354(98)00013-X
  22. Tokyo Metropolitan Reserach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Annual report) A capacity of purification at constructed tidal flat Miyoshi,K.;T.Shimati;K.Kimura
  23. Nature v.255 Benthic nutrient regeneration and its coupling to primary productivity in coastal waters Rowe,G.T.;C.H.Clifford;J.K.Simth Jr.;P.L.Hamilton https://doi.org/10.1038/255215a0
  24. Interactions of C, N, P and biogeochemical cycles and global change Interactions of carbon and nitrogen cycles in the coastal zone Wollast,R.;Mackenzie,R.F.T.(ed.);L.Cho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