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search of Necessity and Practice of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의생활 교육내용의 필요도와 실천도 조사 연구

  • 박일록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 이은희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3.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o relation of necessity and practice of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classify them into four units, choice and dressing of clothes, textile and management of clothes, design and sewing of clothes, knitting and embroidery). Method of posing a questionnaire is adopted to obtain stochastic data required for pertinent analysis. This is the investigation of which 400 (high school students 204, university students 196) girl students located in Choongnam and Junrabookdo province.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SPSS 10.0 for Windows Program was utilized to calculate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lso, these materials were verified by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girl students' necessity mean point were higher than practice mean point about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And necessit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ractices of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cessity and practice of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se results should be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mproving students' critical practice in their real life. Since this study has touched only limited research on the topic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it is essential that further research covering a wider array of themes be done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touched only limited research on the topic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it is essential that further research covering a wider array of themes be don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의생활 교육내용을 학습하고 있거나 학습한 경험이 있는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1, 2학년 여고생과 여대생 총 400명을 대상으로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필요도와 실천도에 관하여 조사해봄으로써, 의생활 교육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신뢰도 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 Duncan의 다중범위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의생활 교육내용의 영역별 필요도와 실천도는 의복의 선택과 착용, 의복의 재료와 관리, 편물과 자수, 의복의 디자인과 제작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의복의 디자인과 제작 영역에 대한 필요도와 실천도가 다른 영역에 비해 낮았다. 의생활 교육내용의 필요도와 실천도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 의생활 교육내용의 필요도가 높을수록 실천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통계적 특성 변인에 따라 의생활 교육내용의 영역별 필요도와 실천도는 차이가 있었다. 여고생보다 여대생이,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의생활 교육내용의 영역별 필요도와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의생활 교육내용의 영역별 필요도가 실천도 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평균점수가 낮았다는 것과,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필요도가 높을수록 실천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변인에 따라 의생활 교육내용의 영역별 필요도와 실천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구통계적 특성 변인이 의생활 교육내용의 영역별 필요도와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의생활 교육이 학생들에게 실생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래사회에 적응해 나가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의생활 교육내용의 높은 필요도가 요구된다.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필요도가 높을 때 다양한 측면에서 학습자의 실천도도 증가할 것이다. 학습자로 하여금 의생활 교육내용이 생활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고움을 줄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 가능한 범위내에서 점진적인 개선을 한다면 보다 바람직한 의생활 교육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2 no.1 가정과 교육내용에 대한 한국과 일본 여 중고생의 학습관심도에 관한 연구 -의생활 내용 중 의복구성분야를 중심으로 강명희;정영숙
  2.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가정과 교육에 대한 여고생의 인식 및 학습내용의 활용도에 관한 조사 연구 고현숙
  3.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0 no.1 중학교 학생의 가정교과 활용도와 관련 변수에 관한 연구 김경숙;박미금
  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0 no.2 중학생의 가정과 교육 학습요구도 및 가정생활관여에 관한 연구 김경숙;박미금
  6.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6차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남·녀 중학생의 학습 요구도 분석 김계순
  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학술대회자료집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김정자
  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9 no.2 중학교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박일록
  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4 no.1 의생활 교육내용의 계열화에 관한 연구 박일록;이은희
  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5 no.1 의생활 교육내용에 대한 고등학생의 실천 의식 조사 박일록;이은희
  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6 no.1 중·고등학교 가정과목 의생활 분야 교육내용 연구­학생, 교사, 전공 교수의 요구도 분석­ 성화경
  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9 no.1 중학교 남녀학생별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효과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신동순;김상회;오화자;정효숙;정혜경
  13.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가정학습을 통한 남중생의 가정생활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신현자
  14. 한국의류학회지 v.21 no.8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 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 연구 심정은;고애란
  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9 no.1 인천시내 남녀 중학생의 가정 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 오현주;홍성야
  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4 no.1 중학교 남학생에 대한 가정과 교육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 은성숙;이전숙
  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4 no.1 중학교 가정과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과영역별 필요도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내 중학교 학생과 학부모를 중심으로­ 이은정;신상옥
  18.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제6차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남녀 중학생의 학습내용 흥미도와 실생활 적용도 이준임
  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6 no.1 고등학교 남학생에 대한 가정과 교육의 필요도에 관한 조사연구 임애용;운인경
  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7 no.2 중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 및 의생활 단원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장현숙;조필교
  2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3 no.1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육 내용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전현주;윤인경
  2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10 no.1 중학교 가정교과와 다른 교과의 교육내용 관련성 분석 정정희;이송자;유태명
  23. 한국의류학회지 v.25 no.7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기 여학생의 연령 집단별 차이 비교- 조선명;고애란
  2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8 no.2 중·고등학생의 가정생활 참여도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남·여학생 비교를 중심으로 ­ 최동숙
  25. 교육발전 v.17 no.1 중학교 가정교과목 의생활 영역에 대한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 -충북지역 교사와 중학생을 중심으로- 최종명
  2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7 no.2 중학교 가정과 학습내용에 대한 예비 중학생과 학부모 인식 황선화;정영숙
  27. 한국가정과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자료집 제7차 교육과정에서 기술·가정 교과 설정의 배경 허경철
  28. Illinis Teacher v.18 no.5 Clothing without Construction: a Curriculum Alternative Garner,M.B.
  29.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3rd ed.) Horn,M.J.;Gural.L.M.
  30. Developmental Psychology(4th ed.) Hurlock,E.B
  31. Illinois Teacher v.32 no.4 Helping Young Men Prepaere for Changing Roles Kohlmann.E.L.
  32. Clothing ad Textile Research Journal v.17 no.4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self-esteem, and body image: Application of a model Lennon,S.J.;Rudd,N.A.;Sloan,B.;Kim,J.S.
  33. Illinois Teacher v.32 no.3 Teaching Home Economics in an Age of Transition Wogensen,C.
  34. C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Ryan,M.S.
  35. 第 1報 日本家庭科敎育學會誌 v.17 家庭科の 地導內容た 關する 意識調査 武井洋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