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Food Supply Status of Korean(Chosun) and Taiwan Prisoners under the Period of Japanese Rule with That of French and German Prisoners in 1920~1930′s

일제하(1920~30연대) 조선과 대만 그리고 프랑스와 독일 수형인의 식품공급상황 비교

  • 허채옥 (한양여자대학 식품영양과)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the prisoners' dietary lift status under the world panics and Japanese food shortage based on the data of the 1920~1930's prisons' main dish supplies in Chosun, Shinchu boys' prison in Taiwan, Franue correction center in France and Moabit detention house in Germany. 1. The status of main dish food supply of Chosun prisons in 1920~1930's was as follows: 1) Meals were provided with 12 rates depending on the working activities.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energy supply between 1$^{st}$ rate of 6045.0 ㎉ in the Mockpo prison and 12$^{th}$ rate of 1855.8 ㎉ in the Masan prison in accordance with the grain supply ratio and the diet rates. 2) The average ratio of energy provided with protein, fat and carbohydrate(PFC ratio) was 20.0: 20.2: 59.8. The supplies of protein and fat were relatively high because main dish was mostly composed of soybean. The soybean was used in 20 ~60% of main dish in prisons except Gaesung. 3) It was estimated that PFC ratio(8.3: 8.1 : 83.6) in Gaesung boys' prison was not appropriate for growing boys because the soybean supply was low. 2. The overall comparison of nutrition supply of prisons in Chosun, Taiwan, France and Germany was as follows: 1) The daily supplies of energy in Keongsung prison was 3966.5 ㎉, of which the PFC ratio was 18.9: 16.6: 64.5. This showed that the PFC ratio seemed to be balanced, even though the total amount of energy is too high and the ratios of protein and fat were somewhat high and somewhat low, respectively. 2) The main dish of the Taiwan boys' prison was provided with 6 rates and the side dish in the from of weekly cycle menu. The energy intakes from 1$^{st}$ rate of 2862.9 ㎉ to 6$^{th}$ rate of 1388.9 ㎉ were not quite enough for growing boys. It was estimated that the amounts of protein and fat taken were small but the quality was not that bad because animal protein such as protein small fish and fried tofu were supplied. 3) In the French Frenue correction center and the German Moabit detention house, the daily total amounts of energy were 2771.3 ㎉ and 2678.7 ㎉, respectively, which was estimated as appropriate compared with standard energy amount of 3000 ㎉ at that time and the current energy RDA of 2500 ㎉ for adult. The ratio of PFC was 16.2: 12.0: 71.8 in Frenue correction center and 12.4: 14.3: 73.3 in Moabit detention house, which showed that the amount of fat was slightly lacked. From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prisons in Chosun and Taiwan under the Japanese rule and European prisons after the world panic were making an efforts to supply prisoners the appropriate amount of energy. The only question remains is that this data may be from only the food supply plan not from the data the prisoners took in real.eal.

1920~30년대 일제 하 개성 소년형무소를 비롯한 조선내 형무소의 주식공급량과 대만 신죽 소년형무소 및 프랑스 후레누 감화원, 독일 모아비트 구치소간의 영양조사 자료를 통해 당시 세계공황과 일본의 식량난 속에서 수형인의 식생활 실태를 재검토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1920년대 조선내 형무소의 주식공급상태 1) 식사가 12등급으로 나누어 제공되었으며 급여열량의 차이로 볼 때 활동정도에 따라 구분하였을 것이다. 목포형무소 1등급이 6045.0 ㎉, 마산형무소 12등급이 1855.8 ㎉로 각 형무소의 잡곡사용비유과 식이등급에 따라 열량공급량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2)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평균 열량비가 20.0 : 20.2 : 59.8로 단백질의 공급량이 의외로 높은데 이것은 주식 중 콩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개성형무소를 제외하고 주식 중 콩의 사용비율은 20~60%이다. 주식에서의 단백질의 양이 높다하더라도 모두 식물성단백질이지만 다른 곡물에 부족한 lysine에 대한 보충작용의 효과가 컸을 것으로 기대된다. 3) 콩을 공급하지 않은 개성소년형무소는 단백질과 지방의 열량비가 각각 8.3%, 8.1%로 낮고 탄수화물의 공급량이 높아 성장기 소년 수형인에게는 부적절하다고 사료된다. 2. 각 형무소의 영양공급량의 종합적 비교 대만 프랑스, 독일 형무소와 본 논문의 전보로 수행된 (Kim CH 2003) 조선 경성형무소의 영양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중등활동을 하는 수형인에게 공급된 영양량으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성형무소 중등활동 수형인에게 공급된 열량은 1일 3966.5 ㎉,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열량비는 18.9 : 16.6 : 64.5로 단백질은 약간 높고 지방은 약간 낮으나 3대 영양소의 균형정도는 양호하다고 볼 수 있으며 오히려 총열량이 너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2) 대만 신죽 소년형무소에서는 주식은 쌀과 고구마를 7:3으로 혼합하여 6등급으로 구분하여 공급하였으며 부식은 1주일 cycle menu로 작성되었다. 열량섭취량은 1등급에서 2862.9 ㎉, 6등급에서 1388.9 ㎉로 성장기 소년 수형인에게는 충분한 공급이라고 할 수 없다. 단백질과 지방의 열량 섭취량도 적으나 돼지고기, 돼지기름, 잡어, 유부등의 음식을 제공하므로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이 어느 정도 공급되었을 것이다. 3) 프랑스 후레누 감화원과 독일 모아비트 구치소는 1일 총열량섭취량이 각각 2771.3 ㎉, 2678.7 ㎉로 당시 열량권장 기준으로 간주되었던 3000 ㎉, 현재 중등활동 성인열량권장량인 2500 ㎉ 어느 쪽으로 비교해도 적정량이 공급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PFC 비율은 후레누 감화원에서 16.2 : 12.0 : 71.8로 지방이 부족하고, 모아비트 구치소에서는 12.4 : 14.3 : 73.3으로 단백질과 지방이 약간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4) 법무부 급식관리위원회의 수용자 급식기준과 각 형무소의 보통활동 수형자를 위해 공급하는 영양량을 종합적으로 비교해보면 총열량 공급량은 조선 경성형무소(Kim CH 2003)에서는 3966.5 ㎉로 급식기준열량의 159.9%로 공급량이 높았으며, 대만 신죽 형무소에서는 소년 수형자임에도 89.6%만을 공급하고 있었다. 프랑스와 독일은 각각 110.9%, 107.1%로 급식기준을 조금 넘는 적정열량에서 가까운 양을 공급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제하의 조선, 세계공황 이후 식량이 극도로 부족한 상황에서 대만, 유럽의 프랑스와 독일 모두 단체로 수용되어 있는 수형인들에게 적정영양량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조사된 것이 계획에 불과한 것이 아니었는지 의문시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