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시각디자인 교육시스템 연구

  • 정봉금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발행 : 2003.08.01

초록

21세기의 문화라는 화두를 보면 디지털미디어의 등장이다. 이는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새로운 전환을 이루었으며 이제 우리사회는 디지털 미디어 매체가 지배하는 사회가 되었다.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는 디자인 학문으로서 시각디자인의 정체성이 디지털매체가 들어오면서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조사ㆍ분석하여 현재 시각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가늠하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표이다. 또한 디지털 매체는 젊은 계층이 주 타깃이 되기에 시각언어의 표현기법이 달라지는 것도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실제 디지털 매체의 등장으로 시각커뮤니케이션이 창조되고 분배되어 온 방법들이 많은 변화를 거쳐 온 것이 사실이다. 과거 대부분의 디자인 교육기관들은 서로 비슷한 교육목표와 커리큘럼, 교수법으로 학생들이 실무현장에 대비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왔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시대에 시각디자인의 적용과 활용은 비할 수 없이 다각화되었으며 그것은 상호자강(Interaction)으로 대별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대 시각디자인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이를 위해 기존의 전통교육과 디지털 교육의 융합으로 현실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도출하고, 사회의 요구를 앞서가는 디자인 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topic of 21st century's culture is the appearance of digital media. It made changes as big as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our society is now ruled by the digital media.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current visual design educatio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how the introduction of digital media is influencing the evolution of visual design's identity, which is an ever changing and developing science. Also, since the rain target of digital media is the young generation, the change in the method of expressing visual language is inevitable In fact,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the methods of creating and distributing visual communica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digital media. In the past, most educational institutions of design had similar objectives, curriculums and teaching methods to provide education that prepares students for practical business. However, in this digital media era,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visual design are uncomparably diversified, and it is generally classified as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t to train visual design professionals in this digital er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identify a new educational system that fulfills the demands of this society by fus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the new digital education, and will suggest what an design education institute that is ahead of the demands of society should be lik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