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션그래픽스의 시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me-Composition in Motiongraphics

  • 서계숙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발행 : 2003.08.01

초록

모션그래픽스는 짧은 영화가 아니며 디자인 특유의 커뮤니케이션방식을 갖는다. 그래픽디자인에서 공간구성이 필요한 것처럼 모션그래픽스에서는 시간구성이 요구된다. 이미 1920년대 독일 바우하우스의 예술가들은 추상에니메이션을 위한 계획안에서 시간구성을 시도한 바 있다. 같은 시대에 러시아의 몽타주영화에서는 서로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연속적으로 충돌시킴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키는 움직이는 이미지 구성이 시도되었다. 오늘날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모션그래픽스에서는 동영상, 사진, 일러스트레이션, 타이포 등 다양한 요소들이 구성(Composition)된다. 몽타주영화에서 편집이 이미지들을 시간의 막대에 한 줄로 늘어놓는 1차원적인 구성이라면 오늘날 모션그래픽스에서 편집은 수많은 레이어(Layer)를 통해 여러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구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모션그래픽스에서 시간구성을 위해서는 시나리오나 스토리 보오드 이외에 시간구조를 짜고 시각적인 리듬을 만드는 일이 필요하다. 시간구성은 음악에서 작곡과 같은 원리를 갖는다. 추상애니메이션이나 몽타주영화의 시간구성이 간단한 단음의 멜로디라면 모션그래픽스에서 시간구성은 여러 개의 음이 한꺼번에 울리는 교향악과 같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각기 다른 속도로 동시에 전개되는 것이다.

Motiongraphics is not short film and has a special communication method characteristic of design. As graphic design needs space-composition, motiongraphics requires time-composition. In the 1920's, artists belonged Bauhaus in Germany tried to realize time-composition in the plans for abstract animation. At that time the russian film director Eisenstein experimented with moving image composit on, creating new meanings through the montage of heterogeneous images. In the digital era of today, motiongraphics is composed of such various elements as moving image, photo, illustration, typography, etc. The editing in montage film is one-dimensional. Meanwhile, motiongraphics of these days consists of a lot of layers, composing various elements by editing. Motiongraphics needs time structure and visual rhythm as well as scenario or storyboard for time composition. The principle of time composition in motiongraphics ist similar to that of musical composition. If we compare the time composition of abstract animation or montage film with the melody in a solo, time composition for motiongraphicf is like a symphony. Various composing elements are developed under different tempos at the same tim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