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Design by means of a Theme and a Sty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Product Design-

테마와 스타일에 의한 디자인의 범주화 연구 -제품디자인의 정체성 확립을 위하여-

  • 신완식 (명지대학교 산업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We must not consider a culture as means of economy. Specially, it is not possible that is supposed to incorporate a cultural identity in a shape of product, but also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can not be raised by it. Because an identify is based on the system of symbol such as language, it can be understood only in a same cultural area. While, the value-in-use of technology can be accepted universally as a formative language of international style. Therefore, the competitiveness of design will say as a special quality that can be acquired in connection with technology. For instance, that Korean mobile telephone could be recognized worldwide is not because it has the Koreanized shape but has a high technology. The public have only a superficial understanding about design. Because that is limited in the visual aspect of product, so called 'the pretty design', which exclude the value-in-use and the organic correlation of form and function in general, it may be a cause of socio-ethical dysfunction. It is providing an elbowroom for making a mistake that can regard the product design as an artistic experiment and try to rais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imply with the visual aspect. And the distorted understanding about design has been diffused rapidly owing to spread of black box products because the over-designed shape is known to the public as a proper result of designing. That reorganize the design category will do as a starting point that can get rid of such a misunderstanding, and do to achieve an ideological role of design for human and society. And it will be a warning to the moral slackening that is due to regarding a style as means of competitiveness and the blindness due to thinking culture as means of economy, and we may expect to offer a basic understanding about design which can prevent products from being visualized.

문화를 경제의 수단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 특히, 문화적 정체성을 제품의 형태에 담는 일은 가능하지도 않겠지만 또 그것으로 국제 경쟁력이 제고될 수도 없다. 그것은 정체성이 언어와 같아서 축적된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집단 내에서만 읽혀지는 상징의 체계를 따르기 때문이다. 반면에, 기술 또는 기술이 공여하는 사용가치는 문화적 색깔을 띠지 않기에 국제양식의 조형언어로써 보편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의 경쟁력은 기술과의 관련에서만 획득될 수 있는 특성이라 하겠다. 예컨대, 우리의 휴대전화기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까닭은 그 형태가 한국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경쟁력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인 것과 같다. 디자인에 대한 일반의 인식은 사용가치를 배제한 '시각'적 조형성에 국한되어 있어 형태와 기능의 유기적 연관성이 상실됨에 따른 사회윤리적 역기능의 원인이 되고 있다. 단순히 조형적 특성만으로 국제 경쟁력을 높이려 한다던가 제품을 예술적 조형실험의 대상으로 여기는 등의 일탈이 허용될 여지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탈기능적인 과도한 형태가 블랙박스 제품류의 확산에 힘입어 디자인 행위 본연의 결과로서 소비 대중에 각인됨으로써 디자인에 대한 인식적 왜곡의 정도를 더하고 있다. 디자인 영역을 새롭게 획정하는 것은 이러한 인식적 혼란에서 비롯된 제반 오해를 불식하고 인간과 사회에 대한 디자인의 이념적 역할을 다하게 하는 출발점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를 통해 스타일을 경쟁의 수단을 삼으려는 도덕적 해이와 치열한 경제행위를 문화화하려는 맹목에 경종을 울림과 더불어, '기능이 보이지 않는 제품'의 확산이 가져올 제품의 시각화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인식적 바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