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 방향인지를 위한 유도사인에 관한 연구 -3차원 공간에서의 2차원적 방향표식을 중심으로

Effective directional signs for the clear cognition of directions -2-D expression of directional sighs in 3-D spaces

  • 심은미 (인제대학교 디자인 연구소) ;
  • 백진경 (인제대학교 디자인대학)
  • 발행 : 2003.08.01

초록

공공시설물에서의 사인은 정확한 의미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유도사인의 경우는 우리 주위환경과 루트를 적절히 표시하고 인식시키면서 우리의 행위를 유도해 주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유도사인은 3차원적 공간의 방향을 2차원적 관점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이는 실제의 3차원 공간 속을 이동할 때 혼란을 유발시키는 한 요인으로 간주된 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의 유도사인의 역할을 재 검토해보고 시지각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유도사인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지하철역을 대상으로 한 의식조사를 통해 이용자의 유도사인에 대한 인지적 태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현재 이용되는 역의 유도 사인은 방향정보 전달의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지 않으며, 특히 화살표의 표현방법이 재고되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공간 인지적 메카니즘을 토대로, 방향 정보 전달에 있어 현행의 2차원적 화살표 표현의 문제점을 고찰한다. 이러한 새로운 모색은 효율적인 유도사인의 구축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At public spaces, signs have purposes of communicating their information clearly. Especially directional signs point out the proper route showing our surroundings. The present directional signs which are indicating 3-dimensional direction in a 2-dimensional mode seem to be difficult to understand as we are moving.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role of present signs and suggesting visually effective directional signs, in particular arrows. Firstly, this study surveyed the user's attitude on directional signs in case of subway station. The research shows that the present directional signs hardly perform their roles to communicate the directional information, which means the need of newly expressed arrows. In this study we consider a new effective expression on the viewpoint of human cognition mechanism. So it is thought that those trials are helpful to efficient sign syst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