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명칭의 분화를 통해 본 조선시대 복식문화 고찰

A Study of the Clothing's Culture in Choseon Period with the Process of the Differentiating into Clothing′s Names : Focused on the Names of Unisex Clothing

  • 발행 : 2003.07.01

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for examining the names of men's and women's clothing of Choseon period, which can be divided into the upper, the lower, and the outer garments based on yu유, go고, po포 from the early period. Furthermore, amongst these various garments, this study shall define some kinds of clothing, which is shared its name and its use by both men and women, as the unisex clothing. Lastly we analyze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is unisex clothing. With the names of clothing in Choseon period, we could understand about the difference of clothing's development by the names for the upper, lower, and outer garments as gender. And we also found the names for the unisex clothing in that period. The names of unisex clothing in Choseon period can roughly be divided into three garments; the upper, the lower, and the outer. Each category can also be subdivided into tku: i. e. the upper garments into jeogori저고리, hansam한삼, sama 삼아, jeoksam적삼, donguidae동의대, and godo고도; the lower garments into go고, gonja고자, and baji[paji파지, pachi파저]; and the outer garments into jangui장의, baeja배자, and juui주의. Furthermore, we can recognize that the shapes and uses of clothes in that period had been represented differently between the men's and women's.

키워드

참고문헌

  1. 황춘섭 (1999). 세계전통복식. 수학사. pp. 35-36
  2. 황유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박춘순 (1991). 바지고 바지형태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과정에 관하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박두이 (1988). 배자의 양식변천에 관한 고찰.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박인숙 (1996). 長衣의 변천 과정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구남옥 (2001). 조선시대 복식변천에 나타난 동조 현상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6). 한국한자어사전 (3). 단국대출판부, p. 65
  8. 고복남 (1986). 한국 전통복식사 연구. 일조각. p. 24
  9.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67
  10. 황유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98
  1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12). -장서각 편 III -. pp. 42-46/ p. 71, p. 78
  12. 황유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23
  13. 구남옥 (2001). 조선시대 복식변천에 나타난 동조 현상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41
  14. 단국대동양학연구소 (1996). 한국한자어사전(1). 단국대학교 출판부, p. 859
  15. 諸橋轍次 (1984). 大漢和辭典(2). 東京: 大修館書店, p. 1022
  16. 박성실 (1996). 回裝赤古里와 肩亇只 再考. 菊堂 孫敬子 敎授 퇴임기념논문집 별쇄본. p. 2
  17. 김영희 (1998). 전통 내의 문화에 관한 연구 -여성바지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13
  18. 이은주 (2001). 17세기 전기 현풍곽씨 집안의 의생활에 대한 소고. 복식. 51(8), pp. 34-35
  1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12). -장서각 편 III-, p. 21
  20. 김동욱 (1973). 한국복식사연구, 아세아문화사. pp. 12-13
  21.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세종2년 9월13일
  22. 國史編籍委貝會編(1970). 朝解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성종22년 (1491). 五月四日
  23. 장인우 (2002). 조선중기 의생활 어휘에 대하여 - 순천김씨묘 언문간찰을 중심으로-. 복식, 52(3)
  24. 譯語類解 (1974). 아세아문화사. p. 91
  25. 四禮便覽, 襲衣 諸具 '袍襖: 俗稱(赤古里) 三稱'
  26. 民族文化推進會 (1966). 五洲衍文長箋散鎬, 衣服裁縫 辯證說, '襦短衫: 俗稱赤古里 單者曰赤衫也'
  2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12). -장서각 편 III-, p.23
  28. 譯語類解 (1974). 아세아문화사. p. 309
  29. 諸橋轍次 (1984). 大漢和辭典(2). 東京: 大修館書店, p. 181
  30. 家禮考證 卷6, 喪禮, 汗衫 '...高祖與項羽戰汗透中單改名汗衫貴賤通服之以此觀之則汗衫者盖親身之單衣也'
  31. 譯語類解 (1974). p. 90
  32. 이기문 (1991). 국어 어휘사 연구. 동아출판사, p. 219
  33. 이경자 (1983). 한국복식사론. 일지사. p. 133
  34. 고복남 (1986). 한국전통복식사연구. 일조각. p.24
  35. 온양민속박물관 (1991). 1302년 아미타 佛복장물의 조사 연구. p. 91
  36. 한국정신문화원 (1995). 17세기 국어사전(하). 서울: 太學社. p. 2339
  37. 老乞大, 朴通事諺解 (1973). 亞細亞文化社. p. 53
  38. 단국대석주선기념박물관 (1988-2001). 한국복식. 단대출판부
  39. 안동대학교박물관 (2000).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보고서
  40. 안동대학교박물관 (2000). 포항 내단리 장기 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41. 황유선 (1999). 조선시대 저고리류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 85
  42. 장인우 (2002). 조선중기 의생활 어휘에 대하여 - 순천김씨묘 언문간찰을 중심으로-. 복식, 52(3), pp. 6-7
  4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12). -장서각 편 III-, p. 87
  4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12). -장서각 편 III-, p. 105
  45. 김용숙 (1987). 조선조궁중풍속연구. 일지사. pp. 291-292
  4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 82
  47.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광해 6년 7월 (갑술)/ 인조1년 10월(기축)/ 인조 16년1월 (을유)/숙종4년 8월(갑술)
  48. 李能和 (1973). 朝鮮女俗考. 서울: 대양서적, p. 59
  49. 김동욱 (1973). 한국복식사연구, 아세아문화사, p. 15
  50.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世祖 五年三月十五 (丁酉)
  51.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成宗 10年閏10月甲寅
  52.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6). 한국한자어사전 (2). 단국대학 출판부, p. 528 '把赤: 把持와 같다'
  53. 장인우 (2002). 조선중기 의생활 어휘에 대하여 - 순천김씨묘 언문간찰을 중심으로-. 복식, 52(3), p. 7
  5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12). -장서각 편 III-, p. 14. / p. 21
  55. 구남옥 (2002). 조선시대 남자바지에 관한 연구. 복식, 52(7), pp. 45-56
  56. 民族文化推進會 (1966). 五洲衍文長箋散稿(卷四), 衣服裁縫 辦證說
  57. 김영숙 편저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p. 320
  58.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世祖2년 3월 丁酉
  59.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中宗 17년 8월 乙酉
  60. 이규경 (1966). 五洲衍文長箋散稿.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衣服裁縫 辦證說, '帽衣 -作裮衣 披衣不帶也宮女至庶人婦女出外被單衣於頭其長等身也장옷'
  61. 韓國文化人類學會 編 (1967). 韓國文化人類學叢書, 京都雜誌/柳得恭, 撰, 서울: 韓國文化人類學會./ '間巷婦女綠桂衣 在街上用衣冪首'
  62.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영조 52년 3월9일./ 정조 24년 6월 29 일./ 순조 34년 11월17일
  63.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正祖원년 3 월16일 (丁亥)
  64. 김미자 (1989). 개화기의 여자복식과 사상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집, 제18호, p. 422
  65. 고부자 (1995). 제주도 의생활의 민속학적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88-97
  66.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太宗 八年五月癸酉
  67.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世宗 五禮儀 凶禮
  68. 家禮諺解(卷之十). 祭禮. 十앞면
  69.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中宗 十三年四月乙丑
  70.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英祖23년 8월 甲子
  71. 國史編纂委員會 (1961). 承政院日記(第五七二冊), 景宗 四年甲辰八月
  72.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英祖52년 3월 9일
  73. 國史編纂委員會編 (1970). 朝鮮王朝實錄. 서울: 探求堂, 正祖24년 6월 29일
  7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고문서집성(12). -장서각 편 III-, p. 65. / p. 98
  75. 四禮便覽(卷1). 冠禮服陳, '背子用色紬或絹爲之長與裙齊對衿開방或半臂或無袖'
  76. 김영숙 편저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p. 187
  77. 宋文欽著, 閑靜堂集(卷七), 雜著 八
  78.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96). 한국한자어사전 (2). 단국대학 출판부, p. 845
  79. 조선어사전 간행회 (1943). 조선어사전. 영창서관. p. 450
  80. 重刊老乞大諺解. 홍문각. 1984, p. 228
  81. 정약용. 兒學編. 규장각 소장. p. 29
  82. 國史編纂委員會 (1961). 承政院日記(77). pp. 97-98. / '籃扇緞狹袖衣, 軟籃宮綃狹袖周衣
  83. 김동욱 (1985). 백제의 복식. 백제문화발전연구원, p.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