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정부의 행정전자서명기반 구축현황 및 향후 발전방향

  • 박인재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전자공학부)
  • 발행 : 2003.06.01

초록

전자정부 구현에 있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는 각종 행정정보에 대한 정보보호는 필수적인 선결 조건이다. 미국 등 각국에서는 전자전부의 정보보호 기반 구축을 하여 가상행정을 환경에서 당사자의 신원 확인,기밀성,무결성,부인봉쇄 등을 보장하는 정부차원의 PKI(Public Key Infrastructure)를 구축.운영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요 정보의 비밀성, 무결성 등을 보장하는 정부차원의 정보보호체계 구축을 위해 2000년부터 추진되고 있는 GPKI(Govermment Public Key Infrastructure) 구축 현황, 인증서비스 현황 및 향후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형 전자정부의 구현방안 v.20 no.4 김경섭
  2. 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 행정자치부
  3. 국내 공개키기반구조 도입방안 한국정보보호진흥원
  4. 통신정보보호학회지 해외 PKI 구축동향 및 사례 신흥식
  5. 통신정보보호학회지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GPKI 구축방안 박인재
  6. 전자서명법 정보통신부
  7. 전자정부구현을위한행정업무등의 전자화촉진에관한법률 행정자치부
  8. 전자서명인증워크샵 PKI 도메인간 상호연동 방안 염흥렬
  9. 전자문서 활성화 방안 행정자치부
  10. 민원서비스 혁신계획 행정자치부
  11. WISC 2002 Certificate Trust Lists의 개념 및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진흥원
  12. 국방정보화 기술심포지움 GPKI 구축동향 및 향후발전방향 박인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