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racture Systems in Southern Korea

우리나라 단열구조의 특성

  • 김천수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 ;
  • 배대석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 ;
  • 장태우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of the regional fracture systems in southern Korea, the fracture orientations show three dominant sets : NNE, NW and WNW. A NNE set is the most abundant and includes most of the largest fractures. The highest fracture density is shown in the Taebaegsan mineralized area corresponding to Ogchon nonmetamorphic belt and the lowest one in the southwestern area of southern Korea. In addition, the density is higher in nonmetamorphic sedimentary rocks such as Choseon Supergroup. Pyeongan Supergroup, Daedong Supergroup and Kyeongsang Supergroup than in Precambrian basements and Jurassic granites. The regional fractures in souther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four orders designated $F_1,{\;}F_2,{\;}F_3{\;}and{\;}F_4${\;}and{\;}F_4$ on the basis of their trace length. It is quite significant that fractures of each order are self-similar with respect to orientation and the combined fracture length distribution indicates a power-law distribution with an exponent of -2.04. As fractu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ectonic provinces, Gyeonggj Massif and Kyeongsang Basin have all orders of fractures from $F_1$ to $F_4$. Most of the large scale faults may be ascribed to the products of slip accumulation through multiple deformation. Others besides $F_1$ fractures are thought to be evenly distributed through the whole area of southern Korea.

우리나라의 광역단열도가 작성되었다. 단열들에 대해 장미그림을 그려보면 북북동, 북서, 서북서의 세조의 우세 배향을 보여준다. 단열의 밀도는 태백산 광화대 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태백산지역에서 서울까지 지역, 문경-보은탄전지역과 진안지역, 충남탄전지역, 고령-함안지역, 양산단층 및 가음단층지역 등이 밀도가 높은 편이다. 사천-지리산-전주선의 서남부 지역이 밀도가 가장 낮다. 지질별로는 조선누층군, 평안누층군, 대동누층군, 경상누층군 등 비변성 퇴적암 지역이 선캠브리아 기반암과 쥬라기 화강암 분포지역에 비해 단열 발달 밀도가 높다. 또 쥬라기 화강암에 비해 선켐브리아 기반암에서 단열발달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우리나라의 광역단열을 길이를 토대로 $F_1,{\;}F_2,{\;}F_3,{\;}F_4$의 4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등급별 단열의 배향은 자기유사(self-similar)하다고 하겠고 단열의 길이에 대한 누적 수 사이엔 누승법칙(power law) 분포를 지시한다. 지구조 구역별로 볼 때 단열은 경기육괴 지역과 경상분지 지역에서는 $F_1$에서부터 $F_4$까지 모든 등급 단열이 발달하나 그 외 지역은 F$_1$ 단열이 거의 발달되지 않는다. 양산단층을 포함한 대규모 단열들은 대부분 일회의 단층운동에 의해 지금의 연장을 가졌다기보다는 다중변형작용을 통한 변위의 집적으로 지금과 같은 길이를 이루었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F_1$ 단열을 제외한 다른 등급의 단열은 우리나라 전지역을 통해 고르게 발달한다고 볼 수 있다. 또 단열의 밀도는 옥천비변성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충남분지와 경상분지도 비교적 높다.

Keywords

References

  1. 1:250,000 지질도 국립지질광물연구소
  2.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GIS를 이용한 경상분지남동부의 선상구조 분석 권연숙
  3. 한국지질도 1:50,000 청평도폭 김정환;박석환;이병주
  4. 지질학회지 v.12 Landsat-1 영상에 의한 영남지역 지질구조와 광상과의 관계연구 김종환;강필종;임정웅
  5. 한국의 지질 변성작용 김형식
  6. 지질학회지 v.6 1:250,000 기복 지도에 나타난 한반도의 지체구조 남기영
  7. 지질학회지 v.33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선구조선 이봉주;최위찬;강필종
  8. 지질학회지 v.14 경상분지 구조해석과 Igneous pluton에 관한 연구 원종관;강필종;이상헌
  9. 지질공학 v.8 고응력분석을 통한 양산단층의 구조운동사 장천중;장태우
  10. 한국지질도 1:50,000 서산-모항도폭 장태우;이상용
  11. 地質뉴스 no.366 Korea 반도의 조구운동의 개략 星野一男
  12. SKB project report, PR 44-94-001 Review of SKB framework for the geoscientific characterization of sites for deep repository Black,J.;Dershowitz,W.;Alexsson,K.L.;Doe,T.;Been,K.
  13. Abstracts for the annual meeting of the Tectonic Research Group of Japan Fracture analysis in the Cretaceous basement and the Tertiary Yeonil Group in and around Pohang basin, southeastern Korea Chang,T.W.;Shin,J.H.
  14. Tectonophysics v.183 Tectonics of south China: Key to understanding west Pacific geology Hsu,K.J.;Jiliang,L.;Haihong,C.;Qingchen,W.;Shu,S. https://doi.org/10.1016/0040-1951(90)90186-C
  15. Jour. Geol. Soc. Korea v.15 Geological analysis of Landsat imagery of south Korea(1) Kang,P.C.
  16. J. Kor. Inst. Mining Geol. v.5 Precambrian geology and structure of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Kim,O.J.
  17. Tectonophysics v.308 Fractal characteristics of active normal faults: an example of the eastern Gulf of Corinth, Greece Koukouvelas,I.K.;Asimakopoulos,M.;Doutsos,T.T. https://doi.org/10.1016/S0040-1951(99)00087-6
  18. J. Geol. Soc. Korea v.23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3. Seismicity of the Kyeonggi massif Lee.K.;Kwon,B.D.;Chang,T.W.
  19. Geology v.22 Collis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A crustal-detachment model for suturing in the region east of the Tanlu fault Li,Z.X. https://doi.org/10.1130/0091-7613(1994)022<0739:CBTNAS>2.3.CO;2
  20. Short course manual on quantitative interpretation of joints and faults, presented on the occasion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Geol. Soc. Am. Practical application of fault slip methods Marrett,R.A.;Allmendinger,R.W.;Allmendinger,R.W.(ed.);Ayden,A.(ed.);Engelder,T.(ed.);Pollard,D.D.(ed.)
  21. J. Struct. Geol. v.19 Scaling and connectivity of joint systems in sandstones from western Norway Odling,N. https://doi.org/10.1016/S0191-8141(97)00041-2
  22. Analysis of geological structure Price,N.J.;Cosgrove,J.W.
  23. Remote sensing for geologists Prost,G.L.
  24. Waste disposal in rock Pusch,R.
  25. Geology of Korea Reedman,A.J.;Um,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