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of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Progra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in Cheonsu Bay Region

연안통합관리계획의 도입과 천수만 어촌의 지속가능발전

  • 김부성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Sustainable Development(SD) is an important concept for the future of the coastal area, and for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Since 1992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Rio de Janeiro many governments and local authorities throughout the world have been engaged in preparing and implementing $\ulcorner$Agenda 21$\lrcorner$. Many projects which previously would have been identified as environmental protection are now presented under the banner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ICM) is an extens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CM was presented as a framework for resolution of coastal use conflicts. The aim of the present paper is to assess sustainable development potential of fishing villages in Cheonsu Bay Region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ICM. Cheonsu Bay Region was known as one of the productive fishing grounds and Cheonsu Bay Region preserved uniqu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fishing villages. But this region is now experiencing many changes through the massive reclamation projects like Seosan A B Project. After a brief overview of concepts and history of SD and ICM, the reclamation process and its impacts on both fishery and fishing communities in Cheonsu Bay Region are discussed. According to their changing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ter the reclamation, ca 35 representative coastal villages in this region can be classified into 5 types. Many coastal villages shows diversity in their economic activities, as tourism and recreation function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is region. In present-day Cheonsu Bay Region,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fishing village cooperatives(FVO) with high potential of sustainable fishery development, FVOs with medium potential, FVOs with low potential on the basis of 14 selected indicators.

지속가능발전(개발)은 연안지역의 미래와 어촌의 발전에 중요한 개념이다. 1992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 이래로 세계 각국의 정부와 지방정부들은 $\ulcorner$의제21$\lrcorner$을 준비하고 실행해 오고 있다. 이전에 환경보호라는 이름 하에 행해졌던 많은 프로젝트들이 지금은 지속가능발전이라는 기치아래서 진행되고 있다. 연안통합관리도 지속가능발전의 연장선상에 있다. 연안통합관리는 연안이용 상충 해소를 위한 하나의 틀로서 제시되었다 본고의 목적은 연안통합관리의 도입에 따른 천수만 지역 어촌의 지속가능발전 잠재력을 평가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천수만은 과거 생산성이 높은 어장의 하나였고, 천수만 지역은 전통적 어촌의 독특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오늘날 이 지역은 대규모 서산 A.B지구 간척사업 이후로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본고에서는 우선 지속가능발전과 연안통합관리의 개념 및 역사 등을 간단히 검토한 후에 천수만 지역의 간척과정과 그것의 수산업과 어촌에 미친 영향을 논의하였다. 다음에 간척이후의 변화하는 환경적.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천수만 지역의 대표적 어촌 35여개의 유형을 분류해 본 결과. 5개의 유형을 추출할 수 있었다. 관광 및 여가 기능이 점차 중요해짐에 따라 오늘날의 천수만 지역 어촌들은 경제활동에 있어서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14개의 지표를 바탕으로 천수만 어촌계의 수산업 지속가능발전 잠재력을 평가해 본 결과 잠재력이 매우 높은 어촌계에 서부터 잠재력이 매우 낮은 어촌계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차이가 드러났다.. 팽화력과 용해도는 가루와 전분 모두 7$0^{\circ}C$ 이후 증가하였으며 전분이 가루보다 더 급격히 증가하였다. RVA에 의한 호화양상에서 가루와 전분의 호화온도는 각각 85.7$^{\circ}C$와 66.2$^{\circ}C$로 나타났다. 최고점도는 가루가 127.7 RVU, 전분이 243.3 RVU로 차이가 컸으나. setback 후의 점도는 176 RVU과 187.7 RVU로 큰 차이가 없었다. 호화액의 consistency는 가루와 전분이 각각 92와 94로 비슷하였다. S-100 $\beta$ 증가율(391.67$\pm$23.40 vs 940.0$\pm$17.02%, p=0.003), 뇌정맥혈 산소 탈포화도(2명 vs 4명, p=0.04), 수술 후 섬망증의 지속시간(18 vs 34 hr, p=0.02)은 고탄산분압군이 고관류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결론: 상기한 결과들을 비교 분석한 바 심폐바이패스 시 고탄산분안법이 고관류법 보다 뇌조직에 산소공급을 더 많이 해줌으로써 뇌대사가 상대적으로 원활하여 신경학적 합병증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E를 제외하고 적절한 상태를 보였다. 또한 남녀를 비교할 때 여성이 남성보다 양적 질적 영양소 섭취 평가에서 낮은 상태를 보였다. 계절적으로는 다른 계절에 비해 봄에 영양소 섭취 상태가 좋았고 겨울에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지역 주민들은 계절에 따라 영양소 섭취에 대해 영향을

Keywords

References

  1. 한 · 미 연안통합관리 Workshop 결과보고 연안통합관리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연안이용 상층조정방향 강대석
  2. 한국의 갯벌관리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 갯벌의 중요성과 보전방안 고철환
  3. 국립민속박물관 학술총서 어촌민속지: 경기도 · 충청남도편 국립민속박물관
  4. 문화역사지리 v.8 천수만 지역의 어촌분포와 변화 김부성
  5. 충청남도 21세기 해양정책포럼 21세기 충청남도 해양관광개발 김성귀
  6. 소규모 어항개발 유형연구: 육지소규모 어항을 중심으로 김성귀;김종덕;최성애
  7. 어촌종합개발을 위한 기반구축연구 김성귀;윤상호;옥영수;최성애;마문식;김종덕
  8. 문화역사지리 v.10 관광지화에 따른 동해안 어촌의 변화 김일기
  9. 한국도서백서 내무부
  10. 대호환경농업 시범지구현황 농업기반공사대호환경사업소
  11. 어촌지도사업의 평가와 발전방안 박성쾌;김정봉;이용숙
  12. 지리학논총 v.29 대도시주변 어촌의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백선혜
  13. 보령군지 보령군
  14. 천수만의 마을 사호리 보령시
  15. 관광보령 보령시
  16.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 박사 학위논문 제주도 어촌의 관광지화와 공간이용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송경언
  17. 어촌계 현황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18. 지속적 어업발전을 위한 수산자원관리 및 해양환경보전 방안 신영태;정명생;박성쾌
  19. 안면도지 안면도지편찬위원회
  20. 환경친화적 친수공간의 활용방향에 관한 심포지엄 친수공간의 조정과 통합적 관리 방향 엄기철
  21. 한 · 미 연안통합관리 Workshop 결과 보고 연안통합관리제도의 실천성 제고방안 엄기철
  2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7 no.4 연안지역이행상충 해소를 위한 평가구조 추출에 관한 연구 여기태;박창호;이기철
  23. 어가의 정의에 관한 연구 옥영수
  24. 현대수산경제론 유동운
  25. 어촌친수공간개발에 관한 연구 윤상호;김성귀;김종덕
  26. 웅진지리 v.13 동해안 어촌의 지리적 연구: 양양군 현남면 남애리를 중심으로 윤응범
  27. 충청남도 21세기 해양정책포럼 연안통합관리계획수립방향 이원갑
  28. 관광어촌 이재천
  29. 충청남도 21세기 해양정책포럼 충청남도 수산업의 발전전략 이태원
  30. 지리학논총 v.30 시화지구 간척사업에 의한 환경변화와 주민의 대응: 안산시 대부동 영전마을을 사례로 임수진
  31. 충청남도 21세기 해양정책포럼 충청남도 서해연안의 갯벌보전 최성길
  32. 성곡논총 천수만 지역의 어업환경과 어촌: 간척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최영준;김부성;서태열
  33.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천수만 연안의 수산업 양식 최훈
  34. 황도붕기풍어제 태안군;태안문화원;공주대박물관
  35. 한국행정구역분류 통계청
  36. UR협상타결과 수산업대응방향에 관한 세미나 결과보고서 UR협상타결과 수산업 대응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7. 해양수산부 고시 제2000-33호 연안정비계획 해양수산부
  38. 해양수산부 고시 제2000-58호 연안통합관리계획 해양수산부
  39. 홍성군지 갯벌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해양수산부
  40. 국가지속가능발전지표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환경부
  41. 기타통계자료(서산시,태안군,홍성군,보령시: 통계연보) 서산시;태안군;홍성군;보령시
  42. 부석면,고북면,안면읍,고남면,남면,천북면: 면세 · 읍세일람
  43. Green Development, Environment and Sustainablity in the Third World(2nd ed.) Adams,W.M.
  44. Tourismus und Nachahaltige Entwicklung Becker,Chr.(et al.)
  45. Lexikon der Geographie Brunotte,E.(et al.)(eds.)
  46. World Fisheries Resources Coull,J.R.
  47. 한 · 미 연안 통합관리 Workshop 결과보고 The evolution of ICM in the US;Lessons learned and next steps Elher,C.N.
  48. An Introduc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e Developing World Elliott,J.A.
  49. Ecotourism: an Introduction Fennell,D.A.
  50. Tourism and the Environment: A sustainable relationship? Hunter,C.;Green,H.
  51. Geografiska Annaler v.70B Land-Tenure and landscape change in fishing communities on the outer coast of centural Norway: C 1880 to the persent Johns,M.
  52.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4th ed.) Johnston,R.J.(et al.)(eds.)
  53.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impact of tideland reclamation Scialabba,N.
  54. Proceedings of the Tsukuba Int. Conference on the Sustainability of Rural Systems Sustainability of Chinese Agriculture in environmental changes, geographical perspectives on SRSs Yunlong,C.;Sasaki,H.(ed.)(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