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s of design research (디자인학연구)
- Volume 16 Issue 2
- /
- Pages.209-218
- /
- 2003
- /
- 1226-8046(pISSN)
- /
- 2288-2987(eISSN)
A Study on the Guidelines of Residential Space Design for Wheelchair Users
휠체어 사용자의 주거환경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Abstract
The increase of wheelchair users due to the rapid growth of elderly population, traffic accidents, and industrial disaster etc. becomes a major issue in our society. Thus, the Convenience Promotion Law was enforced to facilitate the use and installa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pregnant women. Currently, not only newly built buildings but also roads and parks are accessed and used by all the people without any hindrance. In contrast to this, so far not many studies on residential space design for wheelchair users have been carried out except for public facilities. So, wheelchair users have to bear the inconvenience in their houses made upon the standards of the general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sign guideline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heelchair users and their family members to lead a convenient lif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and intended to establish design guideline of convenient residential space for wheelchair users and general people. To accomplish the objective, surveys for wheelchair users' actual conditions and needs, and video observation were carried out.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휠체어사용자의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시설물에 대한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 및 이용에 관한 '편의 증진법'이 제정되어 현재는 신축되는 모든 건축물뿐만 아니라 도로, 공원 등도 가능한 한 모든 사람들이 큰 지장 없이 접근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공시설물 외에 횔체어사용자의 개인주거환 경에 대한 디자인적 측면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횔체어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적 특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일반적인 사람의 기준에 맞추어 설계된 주거환경에서 불편한 생활을 영위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휠체어사용자를 위한 주거환경 개발 시 그들의 신체적 특성을 감안하되 그들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 보호자 등이 모두 편리하게 생활 할 수 있는 주거공간개발에 필요한 디자인지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유니버설 디자인적 관점에서 휠체어사용자와 일반인이 모두 사용하기에 편리한 주거환경디자인 시에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지침을 각 주거공간별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연구목표 달성을 위해 실태조사, 설문조사, 비디오관찰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