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gital architectural design technical type by non-linear space design

비선형 공간구성의 특징에 기초한 디지털 건축디자인의 기술적 유형 연구

  • 김석태 (인제대학교 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The visual, sensible and social situation that the modern digital technologies create became the background for the works of architects in extreme modernism and their space modeling suggested another possibility that was emancipated from the restriction of a property of matter and gravity in the existing space. The architecture design process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has been attempted in diverse ways and summarized with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displacement, nonlinear space, flexibility of space and non-Euclidean geometry system. However, the conceptual and very technical design process that is called as digital architecture has been indiscriminately used with mixed meanings and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works and theories are not studied. This study aims to classify and identify the digital architecture by type as analyzing the non-linear composition process that is common in the digital architecture.

현대 디지털 테크놀러지가 만들어내는 시각적, 체감적, 사회적 상황은 급진적 모더니스즘 건축가들의 작품 활동의 배경이 되고 있으며, 그들의 공간 조형 행위는 기존의 공간에서 받아오던 물성과 중력의 속박으로부터 해방되는 또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디지털 테크놀러지를 이용한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는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탈장소성, 비선형적 공간, 공간의 유동성, 비유클리드적 기하체계 등, 몇 가지 특성으로 정리되고 있다. 대부분의 디지털 건축에 관한 연구는 개념적인 측면에 치중되어 디자인 비평과 평가에 상당한 오류를 범할 수 있는 소지를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건축디자인은 컴퓨터라고 하는 고도의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당연히 기술적 모델 스터디 측면에서 프로세스의 유형을 분류하여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건축에서 공통적으로 뚜렷이 나타나는 비선형적 형태의 발생과정을 분석하여, 디지털 건축디자인을 유형별로 분류, 규명여 디자인의 가치판단과 비평의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