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기압하의 액체질소중 전극배치에 따른 고체유전체 표면의 연면방전 및 Tracking현상

The Characteristics of Tracking Phenomena and Surface Discharge Using Various Types of Electrode Arrangement in LN2 at the Atmospheric Pressure

  • 박광서 (영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
  • 신호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
  • 최병주 (영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
  • 박원주 (영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
  • 이광식 (영남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 발행 : 2003.05.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고온 초전도체의 냉매로서 주목받고 있는 액체질소 중에서 고체절연물 표면의 연면 방전과 트래킹 현상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액체질소중 연면 방전에 많은 영향을 주는 기포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Knife형태의 전극과 평판형태의 전극을 사용하여 A-mod, B-mode, C-mode의 전극배치형태를 각각 구성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향후 연구되고 개발될 초전도·극저온 전력설비의 절연설계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studied characteristics of surface discharge and tracking phenomena on the surface of solid insulators in Liquid Nitrogen(LN2) noticed as a cooling medium of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ubble effect which have much influence on electric surface discharge in Liquid Nitrogen, knife type electrode and plane electrode were formed oppositely with A-mode, B-mode and C-mode configur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se result are fundamental data for electric insulation design of superconductor and cryogenic application machinery which will be studied and developed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Toshio Suzuki, "Future Power System and Challenges in Electric Power Engineering",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High Voltage Engineering, Yokmama, Japan, August 23-27, 1993.
  2. 土森紀之, 長澤隆士, "21世紀の電力エネルシ-と輸送技術 III ﹒ 系統構成﹒.運用の高連化", 電學誌, vol.112, no. 8, pp. 592-596, 1992.
  3. S. H. Minnich et al, "Crogenic power transmission", Cryogenics, pp. 165-176, 1969.
  4. J. Wankowicz, "Cryogenics", vol. 23, 1983.
  5. 주재현, "液體窒素中의 放電形式과 放射電磁渡의 特性에 關한 硏究",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pp. 93-108. 1997.
  6. 原 雅則 外3人, "液體窒素中の氣泡存在下の絕緣破壞に瀏する FRPスペ-サの影響", IEE Japan, vol. 118-A, no. 6,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