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부부의 생활예절수행, 가족체계역동성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ies, Dynamics of Family Syst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arried Couples

  • 김연화 (유한대학 여성교양과) ;
  • 이정우 (숙명여자대학교 가정아동복지학부)
  • 발행 : 2003.04.01

초록

In recent years,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observance of everyday life proprieties, building healthy famil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member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ies, dynamics of family syste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arried coupl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married couples with a child over four-years-old who are currently residing in Seoul. 513 couples(1026 individual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Cronbach'α, Pearson correlation, paired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y was relatively high in both husbands and wives, an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vel. Yet,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ertain sub-dimensions. Wives showed a higher degree of performance in public decorum and social etiquette, whereas husbands exhibited a higher degree of performance in family decorum and communication manners. The family systems were highly dynamic, according to both husbands and wiv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usbands and wives. As for the sub-dimensions, the extent of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higher among husbands than among wive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gain relatively high for both husbands and wives, with husbands significantly higher than wives. Secon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causal model did fit the data well, and that a myriad of background variables had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s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several variables in the sub-dimension of proprieties observance, family adaptability, and the degree of communication. The implication is that the practice of life propriety, an intervening variable, is crucial in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coupl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propriety, family systems dynamic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observance of proprieties is shown to be a concept that can be used as an important predictor in the area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and its focus on the practice of proprieties in the family resource management. More concrete and specialized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help build healthy families. Lastly,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prieties education needs to be incorporated in family policies in order to promote the quality of family life.

키워드

참고문헌

  1.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인지 · 의사결정 참여 및 가정 생활만족도 -사무직, 관리 · 전문직을 중심으로- 강기연
  2. 대한가정학회지 v.34 no.1 가족 응집성, 적응성 및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맞벌이 부부의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정자;김갑숙
  3.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3 no.1 취업주부의 객관적 주관적 자원, 가정관리능력 및 가정생활만족 김경숙;이정우
  4.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부의 성역활 성향과 의사소통도 및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김금옥
  5. 실천예절개론 김득중
  6.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집 v.33 중년기 부부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가족응집성, 적응력 및 복지감 연구 김명자
  7.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1 no.2 부부의 응집 및 적응과 의사소통의 관계: 순환모델의 곡선성 대 선형성 김수연;김득성
  8. 대한가정학회지 v.35 no.1 가족의 응집 및 적응 척도에 관한 연구 김수연;김득성
  9.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순기
  10.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999년 추계학술발표 자료집 대학예절교육의 실제 및 활성화 방안 김연화
  11.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도시부부의 생활예절수행 · 가족체계역동성 · 심리적 복지감 김연화
  12.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기본생활 예절교육에 관한 연구 김윤환
  13. 한국여성교양학회지 v.3 초등학교 어린이의 예절교육 김정신;노은호
  14.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신세대주부의 생활예절의식이 생활예절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
  15.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모-청소년간 의사소통과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계 김진희
  16. 유가윤리강의 김충렬
  17. 대한가정학회지 v.31 no.1 중년기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년기 여성이 지각한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력을 중심으로 박경숙
  18. 사회발전연구 창간호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위한 양적 지표들의 재검토. 한국인의 삶의 질 박경태;박병영;유석춘;이선이;이영희
  19.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부상호간의 의사소통과 가정생활 행복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경자
  20.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4 no.2 중년기 남녀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I 박미석
  21.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4 no.2 중년기 주부 대상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성인 미혼자녀와의 관계향상을 중심으로- 송말희
  22.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역할과 직업보상/비용에 따른 심리적 복지 신기영
  23. 대한가정학회지 v.35 no.1 중년기 주부의 가족역할 수행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신기영;옥선화
  24.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도시 주부의 부부간 의사소통효율성 · 가정관리전략 및 가정생활만족도 심혜선
  25. 대한가정학회지 v.32 no.2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력과 권위유형, 성역할 태도와의 관계연구 안선영
  26.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성평등적 관점에서 본 예절교재 분석 윤용진
  27. 대한가정학회지 v.22 no.3 주부가 인지한 생활의 질에 관한 연구 이기영
  28. 대한가정학회지 v.32 no.3 가정규범에 관한 기성세대와 대학생간의 가치의식 비교연구 이길표
  29. 대한가정학회지 v.32 no.3 규범서를 중심으로 한 기성세대와 청소년간의 생활예절 비교연구 이길표
  30. 예기(禮記) 이민수 역해
  31.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4 no.4 체계내 역동성 요소에 근거한 가족 유형에 따른 생활 만족도 이연숙
  32.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복합과의 관계 이영자
  33. 생활문화와 예절 이정우;이계순;오연옥;이행숙;이명숙;김연화;김경아
  34. 지구촌 생활문화와 국제매너 이정우;김연화;김명나;김경아;강기정
  35. 대한민국학술원 논문집 자연과학편 v.37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주부의 가정관리행동 유형과 가정생활만족 이정우;강기연
  36. 생활과학연구지 v.12 기혼여성의 생활예절 가치의식 및 생활예절 수행-생활규범을 중심으로- 이정우;김경아
  37. 대한가정학회지 v.37 no.1 중년기 주부의 생활예절 수행정도에 따른 가정생활만족도 이정우;김경아
  38. 생활과학연구지 v.14 어머니의 예절수행이 초등학생 자녀의 예절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정우;김명나
  39. 생활과학연구지. 창학 90주년 특집호 대학의 생활예절교육 실제 및 수강효과에 관한 연구-숙대생을 대상으로 이정우;김연화
  40. 대한가정학회지 v.36 no.12 대학생의 '생활예절' 관심도 및 수강 후 태도 · 행동 변화에 대한 만족도- 숙대생을 대상으로- 이정우;김연화
  41.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0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사회적 기여를 위한 생활예절교육의 현황과 확산방안 이정우;김연화
  42.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v.5 no.2 도시인의 생활예절수행이 가족적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정우;김연화
  43. 아세아 여성연구 v.34 신세대 기혼여성의 가치성향, 가정관리행동 및 가정생활만족도 이정우;박은아
  44. 대한가정학회지 v.33 no.3 취업주부가 지각한 가족응집성 · 적응력 및 가사노동수행방안 이정우;이미선
  45. 한국여성교양학회지 v.5 대학생의 예절의식과 예절행동에 관한 연구 이행숙
  46.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8 no.3 기혼 취업여성의 가족생활 및 직업생활 경험과 심리적 복지 이형실
  47.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취업모의 심리적 안녕;긍정적 정서와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이희정
  48.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가치성향, 의사결정 양식 및 가정생활만족 임정빈
  49. 한국여성교양학회지. 창간호 생활예절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임희규
  50.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취업주부의 부부 역할수행 · 가정생활 기여도 및 만족도 장병옥
  51. 대한가정학회지 v.37 no.2 가족체계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귀연
  52. 대한가정학회지 v.31 no.3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적응성 및 가족 체계유형이 부모-청소년기 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귀연;최보가
  53.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소학집주」,「소학집주중해」,「소학질서」및 「소학지언」을 통해서 분석한 성리학의 부부관 정정기
  54. 대한가정학회지 v.31 no.3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증에 관한 연구-학동기 자녀들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최규련
  55.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2 no.2 가족체계유형과 부부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최규련
  56. 대한가정학회지 v.33 no.6 가족체계의 기능성, 부부 갈등 및 대처방안과 부부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최규련
  57. 대한가정학회지 v.27 no.1 부부간의 스트레인지수준 및 디스트레스 수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 최동숙
  58.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1 no.1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체계유형과 가족내 심리적 거리, 의사소통이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최연실
  59.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14 no.1 가족적응력 · 응집성 평가척도(FACES)에 관한 연구 고찰 최연실
  60.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v.3 no.1 부모의 가정교육 태도 및 수행도와 청소년기 자녀의 가정교육 수용도 하상희;지금수
  61. Social Indicator Research v.12 Objective and Subjective Income Adquacy: Their relationship to perceived life quality measures Ackerman, N.;Paolucci, B https://doi.org/10.1007/BF00428859
  62.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ndrew, F. M.;Withey, S.
  63.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56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distress: A sturctural equation approach Barnett, R. C.;Brennan, R. T. https://doi.org/10.2307/352875
  64.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9(Fed)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marital and income satisfaction: A path analytic approach Berry, R. E.;Williams, F. L.
  65. Family and economic stressors and quality of life: A rural-urban comparison. Sociological Abstracts Bubolz, M. M.;Walker, R.;Lee, M. S.
  6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 Campbell, A.;Converse, P.;Rodgers, W.
  67.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of the Family v.19 no.2 Empolyment status and life satisfactin of women in nine western european countries Caycedo, J. C.;Rollins, B. C.
  68. Family Resource Management Deacon, R. E.;Firebaugh, F. M.
  69.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 Galvin, K. M.;Brommel, B. J.
  70. Journal of Home Economics v.63 no.9 Life Satisfactino of middleaged husbands and wives Hayes, M. P.;Stinnett, N.
  71. Family Relations v.43 Impact of Life-Cycle Stage adn Gender on the Ability to Balance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Higgins, C.;Duxbury, L.;Lee, C. https://doi.org/10.2307/585316
  72. Family Types and Family Adaptation to Stress : Integrating The Circumplex Model of Family System and The Family Adjustement and Adaptation Response Model Lavee, Y
  73. Family Relation v.41 no.4 The effect of gender, family satisfaction, and economic strain on psychological well- being Mills, R. J.;Grasmick, H. g;Morgan, C. S.;Wenk, D. https://doi.org/10.2307/585588
  74.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Marriage and Family Assessment Olson, D. H.;Portner, J.
  75. FACESIII, Family social science Olson, D. H.;Portner, J. Lavee
  76. Families: What Makes Them Work Olson, D. H.;McCubbin, H. L.;Bames, H. L.;Larsen, A. S.;Muxen, M. J.;Wilson, M. A.
  77. Family Process v.18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I.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 Olson, D. H.;Sprenkle, D. H.;Russel, C. S. https://doi.org/10.1111/j.1545-5300.1979.00003.x
  78. Emily Post's Etiquette(16th ed.) Post, P.
  79. Equity, equality, and reward : As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ffect, and gender in later life marriages(elderly) Reynolds, W. A.
  80.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Rosenberg. M.
  81.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51 Relationships with children: Explaining parent's psychological well-being Umberson, D https://doi.org/10.2307/352372
  82. Proceedings of 1991 conference workshop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Meeting-Family economic well-being the next century challenges, ches, continuity Contributions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to quality of family life of mid-life women and men Walker, R.;Bubolz, M. H.;Lee, M. S.
  83. Family Relations v.37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adult from rural families Wilson, S. M.;Peterson, G. W. https://doi.org/10.2307/584435
  84. 에티켓 사전 Boykin, E.;김영만 (편역)
  85. 행복한 결혼 건강한 가족 Olson, D. H.;DeFrain, J.;Olson, A. K.;21세기 가정문화연구소 (편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