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성산과 정족산 일원의 지질과 단열 분포

Geology and Fracture Distribution in the Vicinities of the Cheonseong and Jeongjok Mountains

  • 손문 (부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 김종선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황병훈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류충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부) ;
  • 옥수석 (경성대학교 교양과정부) ;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 김인수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발행 : 2003.03.01

초록

경상남도 천성산과 정족산 일원을 대상으로 정밀 지질조사를 하여 지질구조와 단열 밀도분포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양산단층과 동래단층에 평행하고 연속성이 좋은 우수향 주향이동단층(법기단층)과 이와 사교하는 북서방향의 우수향 횡인장성 단층 그리고 대, 소규모의 단속적인 단층들이 수 개 존재함이 추적, 확인되었다. 단열계는 주향 방향과 빈도수에 따라 북북동방향의 단열군 Jl($NS~40^{circ}E$), 서북서방향의 단열군 J2($N50^{\circ}~80^{\circ}W$), 동북동방향의 단열군 J3($N60^{\circ}~90^{\circ}$)로 구분된다. 단열 밀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Jl은 법기단층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운동에 의한 Y-. P- 그리고 R-전단 단열들의 조합, J2 단열군은 화강암 마그마의 관입통로가 되었던 기존 단열대 또는 화강암 마그마의 관입과 지각융기로 인한 북북동-남남서방향의 지각 신장성 단열, 그리고 J3은 양산단층과 동래단층을 비롯한 북북동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들 사이의 지괴에 만들어진 신장성 단열(T)들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결과는 연구지역에서 지하 구조물이나 터널 공사시에 환경피해를 줄이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fter detailed geological mapping, structural and fracture-densit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he vicinity of Cheonseong and Jeongjok Mts., Gyeongsangnam-do. A extensive dextral strike-slip fault (Beopgi Fault) Parallel to Yangsan and Dongrae Faults, a dextral-transtensional-NW fault, and a few intermittent faults have been found in the study area. Based on strike and frequency, fracture system has been divided into three sets such as NNE-trending J1 ($NS-40^{\circ}E$), WNW-trending J2 ($N50^{\circ}-80^{\circ}W$), and ENE-trending J3 ($N60^{\circ}-90^{\circ}E$). According to analysis of fracture density, it is revealed as follows: (a) Jl is the combination of Y-, P-, and R-shear fractures due to the dextral strike-slip of the Beopgi Fault. (b) J2 is the preexisted fracture zone conducting the intrusion of granite. Two tensional fractures dipping to NNE and SSW respectively have been induced by intrusion of granite and followed crustal uplift. (c) J3 is the tensional fracture developed between Yangsan and Dongrae Faults having NNE trend and dextral strike-slip sense. This study aims to reduce environmental impact and insure stability of underground facilities and tunnels.

키워드

참고문헌

  1. 지질학회지 v.37 no.4 양산단층대 북부 유계리일대의 신기 단층운동 경재복;장태우
  2. 지질학회지 v.28 no.1 새로운 동해의 성인모델과 양산단층계의 주향이동운동 김인수
  3. 암석학회지 v.5 no.1 천성산 백악기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I) 김진섭;성종규
  4. 암석학회지 v.11 no.3-4 한반도 남동부 제3기 암맥군과 지구조적 중요성 김진섭;손문;김종선;김인수
  5. 대한자원환경학회 제30차 학술발표회 발표논문 요약집 양산 통도사 일원의 파쇄구조: 양산단층대 우향이동의 증거 류충렬;김인수
  6. 지구과학회지 v.21 no.3 한반도 동남부 제3기분지 지역에서의 신생대 고응력장복원 문태현;손문;장태우;김인수
  7. 지질공학회지 v.12 no.3 부산시 금정산 일원의 지하수 유동 해석을 위한 단열계 분석 손문;함세영;김인수;이융회;정훈;류춘길;송원경
  8. 토목기술자를 위한 지질조사 및 암반분류 신희순;선우춘;이두화
  9. 지질도폭 1: 50,000 양산도폭 이민성;강필종
  10. 이학박사 학위논문, 경북대학교 양산단층의 구조적 특성과 진화 장천중
  11. 양산단층을 고려한 설계기준지진의 재평가 최종보고서 최위찬;류충렬;기원서;이봉주;이병주;황재하;박기화;최영섭;최성자;최범영;조등룡;김복철;송교영;채병곤;김원영;김중렬;이상규;조성준;황세호;황학수;김유성;현혜자;박인화;이희일;이동영;이창범;김주용;양동윤;박덕원;신성천;김유숙;김인준;류장한;진명식;전명순;지헌철;전정수;신인철;강익범;신현모;권무창;오수정;김상곤;임무수;김순길;정항영
  12. Structural geology and regions, 2nd edition Davis G. H.;Reynolds S. J.
  13.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v.22 no.6 Commission on classification of rocks and rock masses: Geotechnical Description of Rock Messe (B.G.D.) ISRM
  14. Active Tectonics: earthquakes, uplift and landscape Keller E. A.;Pinter N.
  15. Geosciences Journal v.6 no.4 Petrographical study on the Yucheon granite and its enclave Kim J. S.;Shin K. C.;Lee J. D. https://doi.org/10.1007/BF03020614
  16. Analysis of Geological Structures Price N. J.;Cosgrove J. W.
  17. Discontinuity Analysis for Rock Engineering Priest S. D.
  18.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Bulletin v.63 Basic wrench tectonics Wilcox R. E.;Harding T. P.;Seely D. R.
  19. Continental deformation Continental strike-slip tectonics Woodcock N. J.;Schubert C.;Hancock P. L. (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