歌辭文學圈 亭子建築의 空間構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nstitution of Jungja in the Gasa Literature Area

  • 최선희 (경원대 건축학과 실내건축전공)
  • 발행 : 2003.05.01

초록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onstitution by analyzing the Jungja in the Gasa (an old form of Korean verse) literature area. These Jungja architectures were composed at Damyang-gun and all over Mt. Moodeung in Chosun dynasty. It can be found several characteristics through 10 Jungja architecture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conclusion of research is as follows. 1. There is a spatial function of Byulsu where the daily life can be managed. 2. The development of introduction part induces a concept of private space. 3. It has structures with openings that can form the various constitution of space. 4. There are heating facilities that people can spend their time in four season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의 정자 박언곤
  2. 호남문화연구 제14집 전남지역의 누정 조사 연구(1) 김동수
  3. 한국의 전통건축 장경호
  4. 한국인의 전통적 자연관 이숭녕
  5. 공간의 이해와 인간공학 최선희
  6. 전남의 전통건축 천득염
  7. 보길도 윤고산 유적 정동호
  8. 가사문학작품집 전남 담양군 가사문학관 관리사무소;도서출판무진
  9.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 누정건축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이용범
  10. 한국정원학회지 전통적인 정자원림의 입지특성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정동오
  11. 별서 소쇄원에 표상된 자연현상의 건축미학적 체계에 관한 연구 한재수
  12. 한국 누정건축에 관한 연구 장양순
  13. 조경학회지 정자에 관한 연구 김영기(외)
  14. 한국정원학회지 조선시대 정자원림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용기(외)
  1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10 no.5 전남지역의 모정건축에 관한 연구 전봉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