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이미지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를 중심으로 -

Street furniture design for the symbolic expression of regional impression - Focusing on the Sam-san street in Ulsan city -

  • 김도경 (울산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 임창빈 (울산대학교 디자인대학)
  • 발행 : 2003.01.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민의 일상체험의 장인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대상지역 가로경관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제고한 상징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한 지역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과 미래지향적 가로의 이미지를 가로환경시설물에 적용함으로써 지역의 상징성을 표현하고 개성 있는 거리로 새롭게 인식시켜 활력 있는 가로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상징가로 환경조성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실제적인 디자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특성화된 지역문화를 활성화하는데도 그 목적 이 있다. 상징가로의 디자인 접근방법으로 역사적 요소가 상실되고 도시화(신도시)가 이루어진 가로를 대상으로 지역의 상징적 이미지를 현재의 지역이미지와 미래지향적 이미지로 추출하였다. 이미지 평가실험을 통해 추출된 상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가로의 상징도구로 가로환경시설물을 이용하여 지역의 가로를 특성화하였다. 가로환경시설물의 디자인에 상징이미지를 적용하여 타 지역과 차별화된 가로를 형성하고 지역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확립함으로써 지역민의 소속감, 자부심과 애향심을 심어주는데 도움을 주고, 공공기관에서 지금까지의 연구내용과 연관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자 할 때, 본 연구가 상징성 추출에 있어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음에 그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concerned local area through using roadside space that is space for daily experience of citizen as target, extracting symbolic image re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 and clarifying the local identity on the basis of it. Through applying image of local symbolism and future-oriented roadside to street furniture, I tried to express local symbolism and through composing symbolic roadside of local that can be newly recognized as unique street, I tried to give a local symbolism and compose active roadside environment. Through providing basic material and actual design example, this paper tried to activate characterized local culture. As the method to approach design of symbolic roadside, the researcher divided local symbolic image into present local image and future-oriented image through selecting the roadside that historical element is lost and urbanization is achieved as target. The researcher characterized local roadside, using street furniture as symbolic tool of future-oriented roadside on the basis of symbolic image extracted from image evaluation testing. This paper has the meaning to suggest one direction for extracting symbolism when organizing distinguished roadside through applying symbolic image to roadside environmental facility, helping for of local resident's sense of place, his self-esteem and love for his hometown and public authority's establishing and promoting the policy concerned to the context of this pap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