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공인숙(1999). 가정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모형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3), 217-228
- 김명숙(1995). 우리나라 가정복지사업의 실태와 과제. 지방화시대와 가정복지. 대한가정학회 제48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20
- 김성천, 윤미혜(2000). 가족복지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미간행
- 김혜란, 장경섭(1995). 가족복지서비스 기능강화(III), 한국적 복지모형의 정립과 정책방향: 단기정책연구(II).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노영주, 허정원, 서지원, 서선희(1999). 가정복지 개념을 중심으로 한 가정학의 재개념화.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73-184
- 박미석, 송인자, 한정원(2003). 한국가족복지정책에서의 여성정체성. 대한가정학회지, 41(2), 155-170
- 변용찬(1995). 가족복지서비스 기능 강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적 복지모형의 정립과 정책방향 (II)] 국민복지기획단 전문가 보고.
- 변화순, 송다영, 김영란(2001). 가족유형에 따른 생활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 보건복지부(1999). '99년도 가정복지 시책방향. 보건복지부 가정복지과 자료
- 송혜림(1999). 가정복지의 개념에 대한 가정학적 관점의 정립, 21세 기 가정복지의 지향과 사회적실천. 한국가정관리학회 제 26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45
- 송혜림(2000). 가정생활에 대한 복지관점의 적용과가정복지의 방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31-41
- 신용하, 장경섭(1996). 21세기 한국의 가족과 공동체문화. 서울: 지식산업사
- 유영주(1995). '가정학과 가정복지', 지방화시대와 가정복지. 대한가정학회 제 48차 춘계학술대회자료집
- 이성희, 이승미(1999). 가정복지 실천의 장으로서의 사회복지관 효용성 연구: 전주시 사회복지관 프로그램 및 요구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2), pp.1-18
- 이승미(2000). 가정복지서비스의 모형과 실천방안에 관한 탐색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141-154
- 임정빈(1997). 가정학 전공자는 가정복지사이다.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임정빈, 김양희, 이기영, 홍형옥, 계선자, 이정숙, 김순미(1997). 가정복지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3), 163-180
- 조홍식, 김인숙, 김혜란, 김혜련, 신은주(1995).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 최연실(1999). 한국 가정복지 정책과 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 및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4), 99-118
- 통계청(1999). 한국의 삶의 지표. 통계청
- 통계청(2002). 2002 사회통계조사(가족, 복지, 노동부문). 통계청
- 한국가족복지정책연구소(1997). 21세기 의 가족복지와 삶의 질, 제9회 한국가정복지정책세미나
- 한국보건복지연구원(1998). 보건복지포럼 29
- 문화일보. 2003년 3월 28일자
- 보건복지부(http ://www.mohw.go.kr)
- Anderson, E. A & Hula, R. C. (1991). The Reconstruction on Family Policy. New York: Greenwood Press
- Moes, P. & A. Schorr (1987). 'Families and Social Policy', Sussman, M. & Steinmetz, S. ed.,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New Yark: Plenum Press
- Zimmerman, S. (1988). Understanding Family Policy. London: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