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ethod of Building 3D GIS Database Using the Statistical Estimating Methods of Well Log for Balancing Seismic Data

탄성파 자료 보정용 검층 기록의 통계적 추정방법을 이용한 3차원 GIS DB 구축방법에 관한 연구

  • 엄종석 (한성대학교 멀티미디어정보처리)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method of acquiring 3D GIS data using the statistical estimating methods of Well Log for balancing Seismic data. We us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of seismic data to get the parameters for the reservoir characterization and we balanc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of seismic data using well log to increase the confidence of the estimated result. Well logs are required to balance the reflection coefficients at the point where seismic data are acquired. In this research, we discuss the geostatistical estimation methods and we applied these methods to real data. Kriging gives high weights to the close well logs, which means estimated results are mainly affected by close well log. High value of cross variograms gave big difference on cokriging result comparing to kriging results and low value of cross variogram gave little differences.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탄성파 자료 보정용 검층 기록의 통계적 추정방법을 이용한 3차원 GIS 데이터 획득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저류층 특성화를 위한 파라미터를 얻기 위해 탄성파 자료의 반사계수 시계열을 사용하였는데, 산출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검층기록을 이용하여 탄성파 자료의 반사계수를 보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탄성파 자료를 획득한 임의의 지점에서 검층기록이 필요한데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추정 방법과 이를 현장 자료에 적용하면서 그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riging에서 검층기록의 가중값은 가까울수록 높은 값을 갖게 되므로 반사계수 추정값은 가까운 검층기록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 Cokriging 방법의 추정 결과와 Kriging 방법의 추정 결과를 비교해 보면 cross variogram이 큰 값을 가질때는 검층기록의 반사계수 추정값의 변화가 크며 cross variogram의 값이 작을 땐 두 방법의 추정 결과가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