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GML 3.0 Encoding System Using Mapping Rules

매핑 규칙을 활용한 GML 3.0 엔코딩 시스템의 개발

  • 이용수 (여주대학교 컴퓨터정보관리과) ;
  • 김동오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
  • 손훈수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대학원) ;
  • 한기준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Published : 2003.06.30

Abstract

Recently, because of the extensiv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the requirement for the easy circulation and utilization of the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among the individuals, organizations, societies and countries is raised. In order to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OGC(Open GIS Consortium) proposed the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specification that defines the XML encoding rule about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addition, ISO/TC 211 adopted the GML specification to make it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refore,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d the GML 3.0 specification in detail that can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n we suggested and applied the mapping rule that define the encoding method to improve the encoding process easily and efficiently. Finall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GML 3.0 encoding system using the mapping rule to encode the geographic information that was constructed in spatial databases into the GML 3.0 document. Especially, we used ZEUS as a spatial database system to test our encoding system in this paper.

최근 여러 분야에서 지리공간 정보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에 각자 구축해 두었던 각종 지리 공간 정보를 개인.조직 나아가 사회 국가 간에 자유롭게 유통 및 활용하려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를 위해 OGC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지리공간 정보를 손쉽게 상호 운용하기 위해 이질적인 환경의 지리공간 정보를 XML로 엔코딩하여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GML 명세를 제시하였으며, ISO/TC 211에서도 GML을 채택하여 국제 표준으로 추진 중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리공간 정보 상호 운용 방법인 GML 3.0을 분석하고, 엔코딩 과정을 좀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바꾸기 위해 엔코딩 방법을 정의하는 매핑 규칙을 작성하여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간 데이타베이스에 구축된 지리공간 정보를 GML 3.0 문서로 엔코딩 할 수 있도록 매핑 규칙을 활용한 GML 3.0 엔코딩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엔코딩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해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으로 ZEUS를 사용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