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Shopping Mall Familiarity, Attribute Evaluation, Inquiry and Purchase

인터넷 쇼핑몰 친숙도, 특성평가, 상품조회 및 구매의도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3.10.30

Abstract

In consumer research area, familiarity 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with relation to customers' product information processing and choice behavior. However, the familiarity has been utilized initially in this paper to examine i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evaluations of attributes of an internet shopping mall and their inquiry and purchase intentions on there i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degree of familiarity.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the safety, the functional convenience, and the tangibility attribute of an internet shopping mall and consumers' willingness to inquire about/purchase products on there i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degree of familiarity. Interesting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ngibility attribute of a mall and customers' inquiry willingness on there is not impacted significantly by the familiarity. Thus, we conclude that our model and hypotheses have been supported quite strongl.

친숙도는 제품의 (특성)평가와 선택의사결정을 위한 소비자의 정보탐색 행동과 관련하여 소비자 행동분야에서 자주 연구된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선택과 점포선택과정이 본질적으로 매우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평가와 선택된 몰에서의 상품조회와 구매의도와의 관련성이 친숙도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가설검정을 통한 분석결과, 안전성과 기능성의 인터넷쇼핑몰 특성과 상품조회와의 관련성은 친숙도에 의해서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으나 실체성 특성과 상품조회와의 관련성은 유의적인 영향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몰의 특성과 몰에서의 구매의도 형성과의 관련성에 친숙도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안전성, 기능성, 그리고 실체성의 세 특성차원 모두에서와 구매의도와 의 연관성은 친숙도에 의해서 유의할 정도로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품차원에서의 평가와 선택과정과 관련하여 사용해 왔던 친숙도 개념을 인터넷 쇼핑몰의 특성평가, 상품조회, 그리고 구매행동과의 분석에 친숙도 개념을 적용하여 친숙도를 이론적으로 확장시키는데 공헌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