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Results of ACL Re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Fixation Materials (Metal & Bio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and RIGIDfix)

금속, 흡수성 간섭 나사못 및 RIGIDfix를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결과 비교

  • Lim Hong 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Wang Joon 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Rho Young Ji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wang Jin H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임홍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왕준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노영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황진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Purpose : To analysis each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with using variable fixatives which are metallic and bio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and RIGIDfix. Therefore, We reported the clinical reliability and safty of ACL reconstruction using RIGIDfix. Materials and Methods : We evaluated the results of arthroscopic ACL resconstruction with patellar tendon autograft among three groups, of which group 1 is used metal interference screw for 44 patients, group 2 used bioabsorbable interference screw for 47 patients, group 3 used RIGIDfix for 42 patients. We compared the clinical results by physical examination (anterior drawer test, Lachman test and pivot shift test), Lysholm score and KT-2000 arthrometer and compared the radiological results by measurement of tunnel and fixatives position and widening and by MRI findings. We analyzed the results by SAS 8.2 Ducan. Tukey and paired t-test Results : Physical instability was in 5 cases, which group 2 had 4 cases and group 3 had 1 case. Lysholm score improved from 59.8. 64.4, 61 to 90.1, 92.3. 92. KT-2000 arthrometer instability improved from 9.20, 10.2, 9.5 to 1.43. 1.62. 2.00 (p=0.478). Radiologically, all cases had excellent tunnel position and cyst change was observed the 8 cases in the group 2, but, all 20 cases 2nd MRI had signal change of peri-fixatives. But, no correlation of clinical results. Conclusion :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clinical instability was found among three groups. And femoral tunnel changes were much observed in group I, II than III. We considered the RIGIDfix has much advantages because the short operation time, better fixation position and much bone contact surface. But, further long term follow up study was needed.

목적 :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시 금속성, 흡수성 간섭 나사 및 RIGIDfix를 사용하여 시행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여 RIGIDfix 의 임상적 유용성과 안정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7월부터 2003년 3월 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을 내원하여 자가 골-슬개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제1 군은 대퇴터널을 금속성 간섭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한 44명, 제 2군은 흡수성 간 섭나사를 사용한 47명, 제 3군은 RIGIDfix 를 사용한 42명으로 하였다. 세 군 사이의 수술 전 후로 Lysholm score, KT-2000 arthrometer, pivot shift test, anterior drawer test, Lachman test 그리고 방사선학적으로는 터널의 위치 및 크기 증가를 측정하였다. 통계학적으로 SAS 8.2를 이용한 Ducan, Tukey 및 t-test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p<0.05). 결과 : 이학적 검사상 제 1군은 1례, 제 2군은 4례에서 불안정성을 보여 주었으며, 제 3군의 경우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경우는 없었다. Lysholm score는 제1군$\~$3군에서 각 각 수술 전 59.8점, 64.4.점, 61점에서 수술 후 90.1점, 92.3점 92점으로 향상되었으며 차이는 없었다. KT-2000 arthrometer의 경우도 각각 수술 전 평균 $9.20{\pm}11.87 mm$, $10.2{\pm}1.50 mm$, $9.5{\pm}1.53 mm$에서 수술 후 $1.43{\pm}0.87 mm$, $1.62{\pm}0.69 mm$, $2.00{\pm}0.74 mm$ 으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P=0.478) 일반 방사선상 대퇴 터널의 변화는 흡수성 나사(2군)를 사용한 8례에서 관찰되었으나 이차 자기 공명 촬영상 2군 20례 모두에서 이식물 주변으로의 신호강도 변화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임상적 결과와의 상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결론 :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시 금속성, 흡수성 간섭 나사 및 RIGIDfix 를 이용한 이식건의 고정에 있어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대퇴 터널의 변화에 있어서는 RIGIDfix 군에 비해 금속성 및 흡수성 간섭 나사군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수술 도중 수기의 편함, 시간의 단축과 간섭 나사의 고정 위치, 수술 후 생물학적 반응 및 터널의 이차적 변화 등을 고려할때, RIGIDfix의 사용이 유용하리라 사료되나, 좀 더 많은 추적 기간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