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porate Governance and Shareholder Wealth Maximization : An Analysis of Convertible Bond Issues

전환사채 발행과 주주 부의 극대화 : 기업지배구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박진우 (한국외국어대학교 무역학과) ;
  • 백재승 (한국외국어대학교 무역학과)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Using a comprehensive sample of convertible security offerings by Korean firms from 1981 to 1999, we examine the effect of convertible bond issues on firm value. We find that the announcement of convertible bond issues has a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However, the announcement of private convertible bond issues by chaebol firms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ir market values.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at in Japan, suggesting that the efficiency of the financing decision by Korean chaebol is different from that by Japanese keiretsu.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announcement effect of private convertible bond issues by chaebol firms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corporate governance variables such as ownership structure, bank relationshi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vertible bond issues can be used as a mechanism for chaebol owner-manager to give rise agency problems at the expense of the wealth of minority shareholder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장기업이 발행한 전환사채 표본을 대상으로 전환사채 발행 공시효과 및 공시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이러한 제반 효과가 기업지배구조를 중심으로한 기업의 재무적 특성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재벌 여부를 포함한 주요 기업지배구조 변수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표본에서 일본의 경우와 유사하게 공시일 주변 주가반응이 유의한 양(+)의 값으로 관찰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양(+)의 주가반응은 대부분 비재벌기업에 기인한 것이었다. 재벌기업의 경우 공모전환사채에서 양(+)의 비정상수익률이 관찰되지 않은 반면에 사모전환사채에서는 오히려 유의한 음(-)의 값이 측정되어 전체표본 및 비재벌기업과 달리 재벌기업의 전환사채 발행은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러한 부정적 주가반응은 재벌의 사모전환사채 발행에 여타 중권에서와 다른 경제적 목적이 개입할 소지가 높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횡단면회귀분석을 통해 기업가치 변화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대주주지분과 같은 소유구조, 재벌여부, 은행과의 밀접도 둥의 지배구조변수가 주가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은 특히 사모전환사채 발행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공모보다 사모에서 기업지배구조가 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재벌의 사모전환사채 발행 공시에 따른 주가하락이 소유경영자의 대리인문제에 기인한 것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로짓회귀분석에서 대주주지분이 낮은 재벌일수록 사모를 이용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나 재벌의 사모발행에 따른 주주 부의 손실이 소유경영자의 대리인문제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