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PR Practitioners Whose Opinions Were Quoted as News Sources and of The Related Articles in the Economic Section of Major Daily Newspapers

중앙 일간지 경제기사에 취재뭔으로 인용된 기업체 홍보실무자 및 해당 기사의 특성 연구

  • Hahn, Kyun-Tae (Schoo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s, Kyung Hee University) ;
  • Lee, Jong-Hyuk (Institut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KorCom PorterNovelli Inc.)
  • 한균태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 이종혁 (코콤포터노벨리(주) 커뮤니케이션 전략연구소)
  • Published : 2003.11.10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PR practitioners whose opinions were quoted as news sources and of the related articles in the economic section of the nation's three largest newspaper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 practitioners were mostly males with the job title of general manager or manager working for large electronics/IT or financing companies in Seoul and near metropolitan areas. In particular, such overwhelming features were more clearly salient in the articles related to conflicts. However, the phenomena seem to have been somewhat eased since 2002 when the newspapers came out with the specialized economic section. Analyzing the articles in terms of the channel of covering news, theme of news, and the existence of any conflict,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R practitioners. In addition, the comparison between each period before and after the emergence of the specialized economic section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 practitioners in many cases.

본 연구는 경제 섹션을 발행하고 있는 국내 3대 종합지(조선, 중앙, 동아)의 경제기사에 의견이나 주장 등이 인용(quote)된 기업체 홍보 실무자 특성(성별, 조직, 산업군, 직급, 실명여부, 지역)및 해당 기사의 특성(취재경로 기사주제, 갈등포함 여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제기사에 인용된 홍보실무자들의 특성은 남성, 부장 및 과장급 관리자, 대기업, 서울 수도권지역, 전자IT 및 금융분야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편중에 있어 갈등이 포함된 시건사고의 경우에는 더욱 뚜렷하게 차이가 드러났다. 시기별로 비교해 보면, 이들 종합지가 전문 경제섹션을 발행하기 시작한 2002년부터 앞에 도출된 편중 현상이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재경로, 기사주제, 갈등포함 여부 등 기사 특성에 따른 홍보 실무자들의 특성에 있어서도 각각 펀중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전문경제 섹션 이전과 이후의 시기로 나누어 비교 분석해 본 결과 홍보실무자의 특성과 해당 기사의 특성에 있어 모두 차이점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