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ADIOGRAPHICAL MEASUREMENT OF ROOT CANAL CURVATURE OF MANDIBULAR PRIMARY 2ND MOLARS

하악 제 2 유구치 근관 만곡의 방사선학적 계측

  • Kim, Young-Jo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영종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1.29

Abstract

Morphology of primary root divergency and curvature determines the pattern of root resorption and periapical lesion, and affects successful root canal treatment. With the purpose of analysing the morphology of primary mandibular second molar roots and canals, the frequency, angle, radius, and start of curvature of the canal were measured. Fifty clinical radiographs were taken from $3{\sim}6$ years old children, followed by digitizing after scanning and analyzing by Scion image Beta 4.02TM(Scion Co. USA). The angle of curvature was determined by Schneider's method and the radius of curvature was determined by Schaefer's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ngle of curvatures were $17.3^{\circ}{\pm}5.0$ (mesial), and $27.9^{\circ}{\pm}6.0$ (distal). Distal curvature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mesial.(p<0.05) 2. The radius of curvatures were $8.7mm{\pm}2.5$ (mesial), and $5.8\;mm{\pm}1.5$ (distal). Mesial curvature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distal.(p<0.05) 3. The start of curvatures were $4.1mm{\pm}0.6$ (mesial), and $4.2mm{\pm}0.6$ (distal).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유치근의 치근이개와 만곡에 관련된 형태학적 특성은 치열교환기의 치근 흡수 및 근단 병소의 양상을 결정지을 뿐 아니라, 성공적인 치수치료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하악 제 2유구치 근관 만곡의 각도, 반경 및 만곡 시작점을 측정해 봄으로써, 유치근과 근관의 해부학적 형태를 정밀 분석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재료로는 $3{\sim}6$세의 어린이의 제 2 유구치 구내 치근단 방사선 사진 50매를 사용하였다. 근단공이 미완성이거나 흡수된 것을 제외하고, 방사선상의 왜곡이 적으며 근관 형태의 판독이 가능한 것을 선택하고, 자료를 digital image화하여 이미지 분석용 software Scion Image Beta 4.02 (Scion Co. USA)를 이용하여 만곡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Schneider법에 의해 만곡도를 측정하고, Schaefer 등의 방법에 의해 만곡반경을 측정하였으며, 아울러 만곡개시거리를 측정하고 근원심근 간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 2유구치의 만곡도는 근심근에서 $17.3^{\circ}{\pm}5.0$, 원심근에서 $27.9^{\circ}{\pm}6.0$로 원심근에서 크게 나타났다(p<0.05). 2. 만곡반경은 근심근에서 $8.7\;mm{\pm}2.5$, 원심근에서 $5.8\;mm{\pm}1.5$로 근심근에서 크게 나타났다(p<0.05). 3. 만곡개시거리는 근심근에서 $4.1\;mm{\pm}0.6$, 원심근에서 $4.2\;mm{\pm}0.6$로 양 근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