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HOLOGIC ROOT RESORPTION OF PRIMARY CENTRAL INCISORS

상악 유중절치의 병적 치근 흡수

  • Choi, Byung-Ja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Chung, Chu-Hy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Choi, Hyung-J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 Sohn, Heung-Ky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and Oral Science Research Center, Yonsei University)
  • 최병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정주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최형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 손흥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구강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3.11.29

Abstract

Physiologic root resorption occur from the apex of the primary teeth close to the permanent teeth towards the apex. Pathologic root resorption occur on surfaces of root due to causes such as trauma, replantation, orthodontic treatment, delayed or irregular eruption of teeth, or growing cysts or tumors. In children,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teeth from trauma are the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s. After such an event, root resorption initiate from the traumatized pulp or periodontium. In this case report, periapical radiographs were used to evaluate the features of pathologic root resorption by studying patients with history of trauma. The following results were noted. 1. Pathologic root resorption was observed in various patterns in all of the 10 traumatized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s. 2. Though teeth with pathologic root resorption were treated with pulpectomy, the resorption process continued to progress.

계승 영구치의 맹출시 상방에 위치한 유치의 치에서는 영구치와 근접한 치근첨에서부터 치근의 흡수가 일어나며 이를 생리적 치근 흡수라고 한다. 정상적인 영구치의 맹출과 관계없이 외상, 재식술, 교정치료, 치아의 지연 맹출, 불규칙적 맹출, 또는 종양이나 낭종의 성장 등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치근의 흡수를 병적 치근 흡수라고 하며 생리적 치근 흡수와는 그 양상이 상이하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외상을 주소로 내원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치근단 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다양한 상악 유중절치의 병적 치근 흡수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외상성 손상을 받은 10개의 상악 유중절치에서 여러 가지 병적 치근 흡수 양상을 관찰하였다. 2. 병적 치근 흡수된 치아에서 치수절제술을 시행한 후에도 흡수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