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dling Growth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Affected by Composition of its Bed Soil and Height of Front Piller

약토 혼합비율과 해가림 전주 높이에 따른 인삼유묘의 생장

  • Ahn, Mun-Sub (Cheolwon Northern Part Experiment Station, KPARES) ;
  • Kang, An-Seok (Cheolwon Northern Part Experiment Station, KPARES) ;
  • Kim, Se-Won (Kangwon Provincial Agricultural Research & Extention Services) ;
  • Lee, Se-Jong (Cheolwon Northern Part Experiment Station, KPARES)
  • 안문섭 (강원도농업기술원 북부농업시험장) ;
  • 강안석 (강원도농업기술원 북부농업시험장) ;
  • 김세원 (강원도농업기술원) ;
  • 이세종 (강원도농업기술원 북부농업시험장)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cultivation techniques by low cost and labour saving i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seedling production, by elucidating proper ratio virgin soil and organic fertilizer, suitable height of front piller.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The optimal ratio of white decomposition of virgin soil and organic fertilizer was 10:1 for good yield of standard seedling, The fittest height of front piller was 150 cm because of both good seedling growth and yield. The cost for production of seedling of ginseng could be reduced by both optimal ratio of virgin soil, organic fertilizer and selection of front piller height.

묘삼 재배시 원야토와 약토의 적정 혼합비율을 설정하고 해가림 시설 설치시 기존관행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시험을 수행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토조제시 약토의 적정 구성비율 설정시험에서 약토함량이 증가할수록 고상은 감소하고, 공극율과 기상, 토양중 OM과 $P_2O_5$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약토함량별 지상부 생육은 약토함량 증가에 따라 엽면적, 엽록소는 증가하였으며, 지하부 생육중 근경과 근중이 증가하였다. (3) 약토조성별 규격묘 생산량은 백마사 약토비율이 10:1처리에서 사용가능 묘삼은 750개/칸 수준으로 양호하였다. 2. 해가림 (일복) 전주목 적정높이를 설정하기 위한 시험에서 (4) 전주높이별 광량은 전주높이가 높을수록 광량이 많았으며 평균지온은 전주높이가 150 cm에서 낮아 광량과 지온은 비례하였다. (5) 해가림 시설 전주목 높이가 낮을수록 엽록소 함량과 근중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사용가능 묘삼수는 처리간 유의성은 없었으며, 또한 관행보다는 그 수가 적었지만 전주높이 150 cm에서 740개/칸로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엄대익, 한강완 (1983) 미원유기질비료 (아미노산 발효부산비료박)시용에 의한 인삼재배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16(3):274-279
  2. 천성기, 목성균, 이성식, 신동양 (1991) 광량 및 광질이 고려인삼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15(1):21-30
  3. 홍정국, 박훈, 박귀희, (1980) 고려인삼 유기물의 무기화.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3(1):13-19
  4. 이일호, 육창수, 박훈 (1989) 토양이화학성의 년차변이가 인삼수량 및 결주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2(1):18-24
  5. 이종길, 하정수, 안대진 (1988) 산지 반양직묘포에서의 묘삼수량과 토양이화학성간의 관계조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1(2):177-181
  6. 이종철, 천성기, 김영태, 조재성 (1980) 차광하의 온도 및 광도가 고려인삼의 광합성 및 근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25(4):91-98
  7. 이종철, 최종호, 천성기, 이종화, 조재성 (1983) 인삼생육의 최적광량 구명에 관한 연구. 한국작물학회지 28(4):497-530
  8. 이종철, 김명수, 변정수, 안대진 (1985) 모샴 수량에 미치는 기상요인의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30(3):310-313
  9. 이종철, 변정수, 안대진, 김갑식, 박훈 (1986) 농가포장에서의 묘산수량 및 상토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9(1):91-96
  10. 이종철, 변정수, 안대진, 조재성 (1995) 양직묘포 토양의 물리성이 묘삼생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19(3):287-290
  11. 이성식 (1997) 해가림 투광 정도에 따른 인삼의 생육 특성 한국작물학회지 42(3):292-298
  12. 이성식, 이종화, 박훈 (1984) 묘포의 광도 및 토양함수량이 인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8(1):65-74
  13. 박훈, 목성균, 김갑식 (1982) 산지토양의 수분 및 유기물함량과 인삼 생육과의 관계.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5(3):156-160
  14. 박훈, 이명구, 김종철, 변정수 (1984) 모샴수량에 미치는 토양요인과 이들 상호관계.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7(1):24-29
  15. 농천진흥청 (2000) 표준영농교본-103. 인삼재배. p. 78
  16. 윤영상 (1992) 묘삼생산을 위한 약토 대용 유기질비료 시용에 관한 연구 (I), 예산농업전문대학논문집 (29):395-399
  17. 윤연상, 구관고, 신동일 (1994) 부숙퇴비 대용 유기질비료가 인삼의 묘삼생산에 주는효과 (반양직묘 중심으로). 공주대논문집 (32):427-433